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0월 15일] 한나라 '비리 불공천 원칙'은 공염불

[기자의 눈/10월 15일] 한나라 '비리 불공천 원칙'은 공염불 사회부 곽경호기자 kkh1108@sed.co.kr '비리 불공천 원칙은 깨도 된다? ' 한나라당이 울산 울주군수 보궐선거에 후보 공천을 강행한 것을 두고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비리 불공천 원칙'이란 '자당 소속 단체장의 비리로 보궐선거가 치러질 경우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 것으로 한나라당 당규에 명시돼 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이 같은 원칙을 깨고 지난 13일 전임 울주부군수였던 신장렬 후보를 전략 공천했다. 신 전 부군수는 울산광역시 도시건설국장과 종합건설본부장 등 사고 위험(?)이 높은 건설 관련 고위직을 지내면서도 비교적 청렴성을 인정 받은 인물이다. 신 전 부군수의 이 같은 장점은 한나라당이 소속 군수의 비리사고로 치러지는 이번 울주군수 보궐선거에서 경쟁력을 갖췄다고 확신하는 핵심이다. 현재 울산시장과 산하 4개구의 기초단체장은 물론 6명의 지역구 국회의원까지 전원 한나라당 소속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나라당이 울산의 기초단체 중 가장 규모가 큰 울주군수 보궐선거에 후보 공천을 하지 않을 가능성은 애초부터 극히 낮아 보였다. 한나라당은 9월25일 당 소속 전임 군수가 비리혐의로 대법원의 확정판결이 났을 때만해도 '비리 불공천' 원칙을 깨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유력 예비후보들 사이에 잇따른 '한나라당 전략 공천설'이 번지면서 얼마 되지 않아 공염불이 됐다. 보궐선거 기간 내내 한나라당과 당 소속 후보는 이를 두고 당연히 크게 시달릴 수밖에 없다. 당장 민노당과 민주당은 "자가당착한 한나라당은 공천을 취소하라" "혈세로 치러지는 보궐선거 비용 6억원을 한나라당이 변상하라"는 등의 공세를 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짧은 선거기간 동안 유권자들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선거는 사라지고 정치공세만 난무하는 보궐선거가 될 것이 뻔해지고 있다. 빌미를 제공한 한나라당은 유권자들의 비판에서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입장이다. 무공천으로 방치할 경우 자칫 다른 당에 넘어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했을 수 있다고 치더라도 '비리 불공천 원칙' 파기는 앞뒤 전후를 따질 때 설득력이 낮아 보인다. 지금부터라도 지역 주민들을 위한 정책선거를 주도해 한나라당이 책임정당으로서의 면모를 되찾는 게 절실한 시점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