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송현칼럼] 원화 강세는 한국에 기회

[송현칼럼] 원화 강세는 한국에 기회 데이비드 전 美 아틀라스캐피털 회장 많은 한국인들이 원화 가치가 지나치게 높다며 걱정하고 있다. 원화가 달러화와 엔화에 대해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언제쯤 안정될까. 도대체 누가 원화를 사들이고 있는 걸까. 필자는 원화 강세뿐만 아니라 달러화 약세도 문제라고 생각한다. 원화 강세의 원인은 펀더멘털이 아니라 지난 60년대부터 시작된 구조적인 불균형에서 찾아야 한다. 한국은 지금까지 외환시장에 대해 수많은 정책과 조치들을 수립, 시행했다. 하지만 대부분이 미래에 영향을 미칠 구조적 변화보다는 단순히 통화를 현 수준에 고정시키는 데 집중했다. 그러나 원화 강세의 이유와 원인은 더 논의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원인을 고치지 않고서는 원화 안정을 위한 노력들이 모두 수포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97년 외환위기로부터 얻은 주요 교훈 중 하나는 중간 규모의 개방경제는 환율과 금리 양쪽을 목표로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통화에 대한 매도 압력이 있을 경우에는 약해진 이 통화를 지탱하기 위한 매수 ‘유인책’으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 98년 원화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금리가 급상승했었다. 현재 한국은 과거와는 정반대 상황을 맞고 있다. 모두가 원화를 사기를 원하는데도 한국은 마치 고정금리 체제하에서 원화 강세 문제를 풀려고 하는 것처럼 보인다. 부동산 투기 문제를 안고 있는 한국이 금리를 인하함으로써 투기 상황을 악화시키길 원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한다. 하지만 원화 매수 욕구를 줄일 수 있는 금리 인하 같은 조치를 취하지 않음으로써 한국 정부는 수출업자들이 그들의 달러표시수익을 온전히 보존하도록 돕고 있다. 이런 ‘공짜 헤지’는 아마 추가적인 원화 매수 압력을 부를 것이다. 금리를 내리지 않는 것이 수출업자들의 이익에 일조하기 위해서라는 추측도 가능하다. 수출업자들은 이런 상황을 이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이 원화가 지속적으로 강세를 띠게 하는 주요 요인 중에 하나다. 원화 강세를 해소하기 위한 장기적이지만 간단한 방안이 있다. 한국 금융자산을 해외에 투자하도록 하고 한국 기업들이 해외 자산을 구입하도록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개인투자자들이 해외 국채나 주식을 사든지 기업이 경쟁 업체나 지하자원을 사든지 어떤 경우든 한국은 국제시장에 투자하는 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과거 60~70년대 유산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자본수입을 개방한 반면 자본수출은 지극히 제한해왔다. 이것은 한국과 같이 외환을 많이 보유한 나라로서는 잘못된 방식이다. 강한 통화를 이용하는 방법은 소비재뿐만 아니라 수익을 낳는 금융 및 실물자산을 사들이는 것이다. 이런 해결책은 일석이조와 같다. 원화 강세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수입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국가가 경제ㆍ금융 거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이 통화다. 국가가 발행하는 국채와 같이 통화의 가치는 신용 가치에 기대된 변화에 따라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한다. 향후 전망이 개선된다면 미래의 성장을 목적으로 더 많은 자본이 흐를 것이기 때문에 통화는 강해질 것이다. 이것은 금리가 낮아지고 통화는 강해지는 것을 도울 것이다. 글로벌 경제의 주요한 왜곡 현상 중의 하나는 고도성장 국가들로부터 모아진 과도한 저축이 미국으로 흘러들어간다는 것이다. 미국의 약달러와 저성장 추세를 감안하면 이 나라는 이머징마켓의 자금으로서는 좋은 투자처가 아니다. 따라서 달러자산을 유로나 엔, 다른 고성장 국가들의 통화로 바꿀 필요가 있다. 한국의 중앙은행과 민간 부문도 달러 치중에서 벗어나 비달러 금융자산을 목표로 해야 한다. 원화는 강세다. 한국은 그 이유를 이해하고 상황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Won's Strength Many in Korea today are worried about the excess strength of the won. Why is it so strong against both the dollar and the yen? When will it be more stable again? Where is the won buying coming from? In my opinion, the problem is not just the won strength. It is also the dollar weakness. The source of the won strength is not from the fundamental factors but from structural imbalances caused by the legacy policies from 1960s. So far in Korea, much of the policy actions and responses to the currency market have been reactive and focused on fixing today's level than structural change that can influence the future level. The reasons and cause for the won's strength need to be further discussed and analyzed. Without fixing the cause, efforts to stabilize the won might be futile. One of the key lessons from the 1997 financial crisis is that medium-size open economies cannot target both the exchange rate and interest rate. If there is a selling pressure on the currency, interest rate has to move up to give "incentive" for the market to buy the weakening currency. Local interest rate had to move up sharply in 1998 to restore confidence in the won. Korea is experiencing an exact opposite problem today. Now everyone wants to buy the won. I see Korea trying to fix this problem of excess currency strength with a fixed interest rate regime. I understand the issues with the real estate speculation and how Korea does not want to add to this pressure by lowering interest rate. However, by fixing and not lowering interest rate to alleviate the "buying" interest in the won, the Korean government is giving incentives to the exporters to hedge out their future dollar revenue without any cost. This free hedge is probably inviting additional won buying pressure. Another way of thinking about this situation is to observe that Korea is subsidizing the exporters' profit by not lowering its interest rate. Free insurance policies are great and rare situation. It looks like the Korean exporters are taking advantage of the situation. This to me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the constant pressure on the won to strength. It is clear from traveling around the world which countries are expensive and cheap from the US dollar purchasing power perspective. With the Korean won at 930, Korea is expensive. The logical behavior by Koreans is to take their won and go spend it abroad and take advantage of the won's strength. This is already happening in Korea. We can use this simple logic in thinking about a longer term solution to the persistent problem of the strong won. Korea should create a more organized and systematic way to invest Korean financial wealth abroad and encourage Korean corporations to buy assets abroad. Whether a Korean individual investor buys government bond in Germany, pension funds buying private equity opportunity in Latin America, corporation buying competitors, or natural resources, Korea needs to be more active in investing its wealth in international market. As a legacy situation from the 1960s and 70s, import of capital is open and the export of capital is restricted in Korea. This is wrong design for a country with Korea's wealth standard. One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strong currency is to take the won and not just buy consumable goods, but buy return generating financial and physical assets. This solution is like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helps with the won strength and buys future income. This effort needs to be more organized and implemented. Korea does not have choice. Lastly, let's first talk about what a currency represents. It is a note issued by a country to facilitate economic and financial transactions. It is a liability of a country. Just like a bond that a country issues, value of the currency can fluctuate based on the expected changes in the credit worthiness. If the outlook is better, the stronger the currency can become as more capital will flow to capture future growth. This will help to keep the interest rate low and currency strong. One of the main distortions in the global economy is how the excess savings from the higher growth countries is getting recycled back into the US. Emerging market's excess savings that is coming back to the US might not be a good investment (weaker dollar and slower growth prospects). One recommendation for Korea is to diversify away from the US dollar assets into the Euro, Yen and other larger emerging countries. Both the Bank of Korea and Korea's private sector needs to move away from their current heavy dollar exposure and target non-dollar financial products for the new overseas investments. The won is strong. Korea needs to understand the reasons and take advantage of the situation. 입력시간 : 2007/01/14 16:2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