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글로벌 경기부양 수혜주 '상승 날개'

미국 '신뉴딜정책'등 영향 산업재·기계주 급등 불구<br>낙폭과대 따른 기술적 반등…수혜 크지않을수도<br>일자리창출 관련 건설·에너지등은 선별적 접근을


글로벌증시가 ‘정책랠리’에 접어들면서 경기부양 정책의 수혜 예상주들의 상승탄력이 커지고 있다. 9일 코스피지수가 전일 단기 급등에 따른 숨고르기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에서도 글로벌 경기회복 정책과 관련된 산업재ㆍ기계주들이 급등세를 이어갔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정책자금 집행에 따른 큰 폭의 수혜를 예상하면서도 실제 기업실적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수혜폭도 예상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큰 만큼 장기적이고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책랠리 유효=9일 코스피지수가 0.07% 오른 강보합세를 보이며 전날의 급등세를 이어가지는 못했지만 주식시장은 아직도 정책랠리 구간에 놓여 있다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각국 정부가 이전보다 강한 정책들을 앞 다퉈 내놓고 있는데다 주식시장은 경기침체란 악재에 강한 내성을 보이면서 정책효과에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황빈아 교보증권 연구원은 “경기침체 심화가 지수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지만 최근 증시는 이에 대한 내성이 생기고 있어 지수는 반등국면에 놓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재정정책으로 방향 선회=통화정책에 무게중심이 놓였던 글로벌 정책공조는 최근 들어 미국을 중심으로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정책 쪽으로 선회하고 있다. 지난 6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국가적 인프라 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 난방 시스템 교체 등으로 석유에너지 의존도 감소 등을 골자로 ‘신뉴딜’ 정책을 발표했다. 김한솔 삼성증권 연구원은 “얼마 전 금리인하 및 통화스와프 체결 등으로 이뤄진 통화정책 공조가 시장의 급락을 멈추게 하는 역할을 했다면 최근 중국ㆍ미국ㆍ인도 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대규모 경기부양책은 시장의 안정성 확보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핵심은 인프라=통화정책이 은행ㆍ건설주에 수혜를 입혔다면 재정정책은 사회간접자본(SOC), 즉 인프라투자 관련주와 대체에너지 관련주에 온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프라투자의 경우 각국 재정정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데다 고용창출 효과 및 투자효과가 가장 뛰어난 부문이라 정책강도가 더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부양정책 관련 종목으로 인프라투자 부문에서는 철강(포스코ㆍ현대제철), 건설중장비(두산인프라코어), 전선(LS전선) 등이, 대체에너지 부문에서는 태양광(동양제철화학), 풍력(태웅) 등이 꼽히고 있다. 김 연구원은 “각국의 정부가 내놓은 정책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반영될 것이기 때문에 긴 안목에서 실질적인 수혜종목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했다. ◇긍정효과 그리 크지 않다=그러나 일각에서는 글로벌 경기부양 정책이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만큼 크지 않을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계속해서 쏟아지는 글로벌 정책공조에 국내 증시가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지만 이는 낙폭과대에 따른 기술적 반등의 성격이 짙고 국내 기업이 받는 실질적 수혜는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변종만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바마 정부의 신뉴딜정책은 기본적으로 미국 내 경기부양과 내수회복을 위한 정책으로 수혜도 미국 내 기업들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며 “최근 주식시장에서 관련 수혜주로 분류되면서 주가가 급등한 종목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변 연구원은 다만 “최근의 경기부양을 위한 글로벌 정책공조를 감안할 때 우리 정부도 SOC투자 확대와 같은 정부주도의 일자리 창출과 내수부양책을 강화할 수 있다는 면에서 경기부양과 관련된 건설ㆍ기계ㆍ신재생에너지 등은 선별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