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물가 비상시국"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 논의

[약발 안먹히는 물가대책] 올 첫 경제금융점검회의<br>과장급 실무자까지 총출동 개별물품 가격 등 점검<br>공공요금 동결 방침 확정 기업엔 반강제 협조 요청<br>사재기·담합 혐의자는 세무조사 강화 방안도 나와

정부 경제부처 수장들이 10일 오후 청와대 서별관에서 올해 첫 경제금융점검회의(서별관회의)를 열고 이번주 중 발표할 물가대책을 최종 조율했다. 미시냐 거시냐를 떠나 정부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물가 관련 대책들이 테이블 위에 올랐다. 정부는 이날 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오는 1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종합물가대책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장관들은 물론 각 부처에서 실물물가를 담당하는 과장급 실무자들까지 총출동해 물가 관련 대책부터 개별품목 물가까지 총체적으로 점검했다.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 '물가와의 전쟁'을 선포한 만큼 부처들로서는 물가종합대책에 어떤 식으로든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알맹이를 만들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동원 가능한 모든 대책들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난상토론을 벌였다. 원가연동제 등과 상관없이 모든 공공요금은 동결하기로 이미 방침을 정했고 생필품ㆍ식료품 등 민간시장에서 결정되는 물가까지도 기업들에 사실상 반강제적 '협조 요청'을 통해 가격을 묶어놓기로 했다. 생필품 사재기 및 담합 혐의자에 대한 세무조사 강화 등 완력을 동원하는 대책들까지 쏟아졌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지식경제부와 농림수산식품부 등 실무 부처들이 세부 품목별 가격관리 방안을 들고 왔다"며 "물가를 놓고 보면 워낙 비상시국인 만큼 가능한 한 모든 대책들을 동원해 종합적인 그림을 그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한편 이날 발표한 경제동향에서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를 재차 표시했다. KDI는 이날 동향보고서에서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 가격 상승세가 확대돼 12월 소비자물가가 3.5% 전년 동월 대비 상승했다"며 "물가상승 압력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13일에는 이 대통령이 직접 지휘하는 물가대책회의와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가 한꺼번에 열린다. 물가 관련 정부의 미시정책과 통화당국의 거시정책이 한날한시에 결정되는 셈이다.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정부의 물가잡기 의지와 맞물려 어떻게 이뤄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