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은 "대출금리도 내려라" 은행장들 "당장은 어렵다"

한은·은행권 신경전…내려도 소폭될듯

한은 "대출금리 내려라" 은행장들 "당장은 어렵다" 한은·은행권 신경전…내려도 소폭될듯 • "장삿속" 비난에 "경영악화" 맞서 한국은행이 콜금리 인하폭만큼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내려줄 것을 권고했지만 은행들은 당장 추가로 인하하기 어렵다고 밝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박승 한은 총재는 20일 오전 한은 소회의실에서 열린 은행장들과의 금융협의회에서 "콜금리 인하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예금금리뿐 아니라 대출금리도 콜금리 인하폭만큼 내려달라"고 당부했다. 은행장들은 이에 대해 "은행 전체 대출의 60~80%는 가계대출 등 주로 서민들이 사용하는 시장금리 연동대출로 이미 콜금리 인하와 함께 0.25%포인트를 내렸다"며 "나머지 20~40%의 만기 1년 이하 확정금리부 기업대출도 단계적으로 인하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은행장들은 "종합적으로 볼 때 예금금리 인하효과보다는 대출금리 인하효과가 큰 게 사실"이라면서도 "예금금리는 콜금리 인하로 0.20%포인트 내렸으나 시장금리가 큰 폭 떨어져 대출금리를 이보다 더 내릴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은행장들은 특히 금리인하로 마땅한 운용처가 없는 은행자금의 10~20%가 채권ㆍ주식시장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커 은행 수지가 나빠질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며 대출금리 인하에 난색을 표했다. 가계와 카드대출 연체율은 하락하고 있지만 소호(SOHOㆍ개인사업자), 중소기업과 함께 정보ㆍ기술(IT)부품 업체, 통신부품 업체, 벤처 업체들의 연체율이 상승추세에 있는 것도 은행들에는 부담이다. 연체가 늘어나는 마당에 금리까지 내리면 바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장들은 그러나 "은행들이 연체대출 중 고정이하여신(연체기간 3개월 이상)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보통 70~90% 정도 쌓고 있는데다 120%까지 적립하는 곳도 있어 연체에 따른 은행 건전성에는 큰 문제가 없고 하반기에도 양호한 수지를 유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은행들은 한은이 경기회복을 위해 콜금리를 전격 인하한 후 예금금리를 크게 내렸으나 대출금리 인하는 흉내만 내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중앙은행 총재까지 나서 대출금리 인하를 촉구하고 있어 은행들이 금리를 내릴 수밖에 없지만 그 폭은 제한적이고 시기도 늦춰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혜경 기자 light@sed.co.kr 입력시간 : 2004-08-20 17:4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