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은행ㆍ홈쇼핑 등의 전화상담 창구인 콜센터 유치에 발벗고 나섰다. 청년 실업난을 대거 해소할 수 있는데다 도심 빌딩의 공실률을 줄일 수 있어 상당한 경제 파급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관련업계는 콜센터 시장 규모가 약 8조2,500억원으로 연간 7,400억원의 생산 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국의 콜센터는 현재 2,000여개로 25만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중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상담원들의 이직률이 높고 건물 임대료와 인건비 등이 비싸 최근들어 지방 이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2일 부산시에 따르면 인건비는 부산이 147만원 수준으로 서울의 77%선이며 임대료는 서울에 비해 절반 이하인 47%로 싸다.
시는 콜센터의 지방화를 겨냥해 각종 인센티브와 고급 인력 등을 내세워 틈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민간투자촉진조례를 개정, 20명 이상을 상시 고용하는 콜센터가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건물ㆍ토지 임대료 50%(3억원 이내),시설장치설비비 30%(1억원 이내)를 지원하고 고용보조금과 교육훈련보조금도 각각 6개월간 1인당 5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함께 취득ㆍ등록세 면제와 함께 재산세ㆍ종합토지세ㆍ법인세ㆍ소득세도 5년간 100% 면제한다.
시는 또 학계와 언론계,유관기관으로 구성된 콜센터 유치 태스크포스팀을 가동해 관련 업체를 상대로 유치 활동을 펼치고 지역 대학에 텔레마케팅과 신설을 건의해 산학협력을 유도하고 있다. 고급 인력으로 승부를 건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 같은 지원책으로 우리홈쇼핑 등 기존의 콜센터 이외에 지난해 도미노피자(600석),국민연금관리공단(70석) 등에 이어 올들어 동양생명㈜(420석) 등 10월말 현재 7개업체 1,250석을 추가로 확보했으며 14개업체(2,430)를 상대로 협의를 진행중이다. 내년말까지 콜센터 신규 고용인력을 6,000여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영활 부산시 경제진흥실장은 “콜센터는 1개석에 상담원들의 교대 근무가 이뤄지는 인력 집약적 업체로 특히 젊은 여성들의 실업을 해소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