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 양극화

서울 낙찰가율 떨어지고… 경기·인천은 고공행진


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이 양극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의 비율)이 하락세로 돌아선 반면 경기ㆍ인천권의 낙찰가율은 거침없는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크게 오르자 아예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저렴한 물건을 찾는 수요자가 서울 외곽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3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83.61%를 기록해 전달보다 1.04%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경기권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83.41%로 전달 대비 2.58%포인트 올랐다. 이는 최근 6개월간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인천 아파트 낙찰가율 역시 같은 기간 2.84%포인트 오른 80.78%를 기록해 석달 만에 80% 고지를 회복했다. 입찰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한 물건당 응찰자 수를 뜻하는 입찰경쟁률은 경기도와 인천이 각각 7.51명, 8.34명을 기록했다. 특히 경기도의 입찰경쟁률은 2009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정민 부동산태인 팀장은 "3억원 이하 싼 집을 찾는 실수요자가 경기ㆍ인천 경매시장에 가세하면서 입찰경쟁률과 낙찰가율이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달 16일 입찰된 경기 수원시 정자동 두견마을현대백산 59㎡(이하 전용)의 경우 45명의 응찰자가 몰려 감정가보다 600만원 높은 1억7,600만원에 낙찰됐고 같은 날 입찰된 용인시 상현동 성원2차 59㎡도 35대1의 경쟁률을 보이며 감정가(2억원)보다 1,799만원 높은 가격에 새 주인을 찾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