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집값하락 후폭풍… 집단대출 부실 심화

한계가구 10% 육박

속절없이 떨어지는 집값과 시공회사의 부도로 아파트 집단대출 부실의 골이 깊어졌다. 소득의 4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쓰는 한계가구가 10%에 달했고 소규모 기업(매출 100억원 이하) 세 곳 중 한 곳이 한계기업으로 전락했다. 설상가상으로 정부부채 비율도 오는 2030년에는 100%를 넘어설 것이라는 우울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자칫하다가는 정부부채와 가계부채가 갈길 바쁜 한국경제에 이중펀치를 날릴 상황이다.

22일 한국은행과 금융계에 따르면 가계 주택담보대출(303조원)의 3분의1을 차지하는 집단대출이 집값 하락으로 부실해질 가능성이 커졌다. 높은 분양가→집값 하락→입주거부→시행ㆍ시공사 도산→금융부실 등의 악순환이 현실화되고 있는 셈이다. 더구나 집단대출 단지 가운데 분양가가 인근 시세보다 30%나 더 비싸진 단지도 두 곳 중 한 곳에 이르러 주택가격 회복 없이는 부실이 점차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가계빚에 대한 암울한 분석은 이날 한은이 내놓은 '부채경제학과 한국의 가계 및 정부부채' 보고서에서도 여실히 나타났다. 현재 가계빚 수준(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빚 순환변동치)은 임계치인 1.31에 근접한 1.18(2011년 2ㆍ4분기 기준)이다. 또 총소득 중 부채에 대한 이자지급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이자상환비율도 2.72%로 임계치(2.51%)를 넘어섰다. 소비위축이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정부부채 전망은 더 암울하다. 20년 뒤에는 정부부채가 국내총생산(GDP) 수준으로 뛰어올라 재정건전성을 위협할 것으로 내다봤다. 위기상황에서 최후의 보루 역할을 했던 재정마저 한계상황으로 내몰리는 형국이다.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