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성동조선 추가 지원 불가" 끝내 국민銀 이사회서 최종결정


국민은행이 중소형 조선사에 대한 지원 방안을 여신위원회에서 결정하지 못한 채 끝내 이사회까지 올렸다가 결국 지원을 거부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통상 대기업이 아닐 경우 여신위원회에서 결정하는 것이 통례인데 채권단 간의 이견이 극심한 상황에서 섣불리 결정을 내렸다가 추후 배임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이사회로 결정을 미룬 것이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전날 오전 이사회를 열고 성동조선에 추가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이사회에 보고했다. 원래 개별 여신 건은 이사회 안건이 아닌데 사안의 중요도를 감안해 특별 보고사항으로 이사회까지 올라갔다. 국민은행은 앞서 지난 19일 여신협의회를 열고 추가지원 불가방침을 결정했다. 민병덕 행장은 이날 "성동조선의 회생 가능성에 대해 국민은행과 나머지 채권단 간의 괴리가 큰 상황"이라며 "지원안을 받아들일 경우 국민은행이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2,000억원을 웃도는데 이는 원래 대출금인 230억원에 비해 과도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은행이 신청한 반대매수청구권을 놓고도 채권은행 간의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은행은 추가지원 불가 결정을 내리면서 반대매수청구권을 신청했는데 이에 따라 채권단은 국민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성동조선 채권을 6개월 내에 매입해야 한다. 하지만 다른 채권기관들은 성동조선이 구조조정이 아닌 자율협약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반드시 되살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ㆍ우리은행 등 국민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채권단이 성동조선에 대해 어떠한 추가지원책을 들고 나올지 관심이 모아진다. 현재 성동조선의 채권비율은 수출입은행(47.4%), 무역보험공사(18.4%), 우리은행(15.7%), 국민은행(7.6%) 순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국민은행이 빠지면 나머지 채권기관의 부담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에 구체적인 지원안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