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부동산·주가 올라도 소비 지지부진"

LG경제硏"최근 경기상황선 '자산효과'도 안맞아"

부동산 값이 오르고 주식시장이 활황을 보이면 소비자들의 주머니가 두터워져 소비를 늘린다는 이른바 ‘자산효과(wealth effect)’가 최근의 경제상황에서는 그다지 들어맞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12일 ‘소비의 자산효과 줄어들고 있다’는 보고서에서 “소득증가가 미약한 상황에서 부동산가격과 주가상승만으로 소비가 회복된다면 자칫 일시적 회복으로 끝날 공산이 크다”고 전망했다. 송태정 부연구위원은 “과거에는 주택매매가격이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시차)이 1~2분기 내외에 불과했는데 최근에는 4분기 이상으로 벌어졌다”며 “올들어 종합주가지수가 크게 상승했지만 민간소비증가율은 과거보다 크게 저조한 실적을 보이는 등 자산가격과 소비관계에서 과거와 다른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가격과 주가가 1% 상승할 때 민간소비는 각각 0.11%포인트와 0.011%포인트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동산 가격이 주가보다 소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 위원은 “주택가격과 주가의 자산효과를 합산한 실물과 금융자산의 전체 자산효과는 지난 2000년 0.20%에서 올 2ㆍ4분기 중 0.12%로 크게 떨어졌다”며 “최근 몇년간 자산효과가 낮아지고 있어 앞으로 큰 폭의 소비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소비회복을 위해서는 자산효과보다 가계의 구매력을 뒷받침하는 소득증가에 의한 소비회복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소득증가가 약한 상황에서 부동산과 주가만으로 소비가 회복된다면 자칫 일시적인 회복으로 끝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 위원은 “올 하반기 소비회복 속도는 완만한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상반기 성장률이 3.0%를 기록했지만 국민총소득은 0.4% 증가에 그치는 등 소비의 회복기반이 매우 취약한 상태고 소득 양극화와 가계부채 조정 등 구조적 문제점도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