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모 비만시 딸 비만 확률 13.7배"

"부모 비만이 아들로 이어질 확률은 6.6배"…서울아산병원 박혜순 교수팀 조사

아버지와 어머니가 동시에 비만인 경우 딸이 비만일 확률은 비만이 아닌 부모에 비해 평균 13.7배나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비만클리닉 박혜순 교수팀은 11~19세의 사춘기 자녀(아들 123명, 딸 103명)를 둔 134가족(부 128명, 모 132명)을 대상으로 부모와 자녀간비만의 상관관계를 각기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조사대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아버지 43.6세, 어머니 40.9세, 자녀 13.3세 등이었으며 아버지의 50%, 어머니의 31.8%, 아들의 50%, 딸의 37.9%가 비만이었다. 이번 조사결과는 역학조사 국제학술지(Annual Epidemiolgy) 최근호에 실렸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조사 대상 부모와 자녀의 키와 몸무게, 허리둘레, 키,엉덩이 치수 등과 전체 비만도, 지방 분포도, 음식물의 섭취량 및 섭취횟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이 결과 부모가 모두 정상 체중인 상태에서 자녀가 비만일 확률을 1로 봤을 때부모 중 1명이라도 비만인 경우 자녀가 비만일 확률은 남자가 2배, 여자가 1.7배로높아졌다. 하지만 양쪽 부모 모두가 비만인 경우 자녀가 비만일 확률은 남자가 6.6배, 여자가 13.7배로 각각 크게 높아졌다. 부모가 동시 비만인 일부 가족의 경우는 자녀가 모두 비만으로 분류돼 최대 76배나 높은 상관성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딸의 비만은 아버지보다 어머니에게 더 큰 영향을 받았는데 자녀의 음식물섭취 패턴도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쪽에 더 가까웠다. 예를 들어 몸 전체 비만 정도를 가늠하는 체질량지수(BMI)의 경우 어머니와 딸의 상관 관계자는 1점 만점에 0.42점으로 `아버지-딸'(0.38), `아버지-아들'(0.12), `어머니-아들'(0.25) 등의 상관 정도에 비해 높았다. 이같은 `어머니-딸'의 높은 연관성은 허리둘레와 지방분포, 엉덩이 비만 등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아버지만 비만일 때 아들이 비만으로 이어지는 확률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자녀의 키는 어머니보다 아버지와 연관성이 더 컸다. 박 교수는 "대부분 가정에서 어머니가 아이들을 돌보는 시간이 많았기 때문에비만과 관련한 음식 섭취 등의 환경적 요인이 자녀와 공유된 것"이라며 "특히 딸이아들보다 어머니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이유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용어설명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통상 25이상이면 과체중, 30이상 이면 비만을 나타낸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