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남미국가연합 출범 가시화

10개국 정상 9일 기본헌장 서명

유럽연합(EU) 모델을 따라 남미10개국이 정치ㆍ경제적으로 결속하는 남미국가연합 출범이 가시화하고 있다. 메르코수르(남미공동시장) 정ㆍ준회원국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칠레 등과 안데스공동체(ANCOM) 회원국인 볼리비아, 에콰도르,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페루 등 남미10개국 정상은 오는 9일 페루의 안데스 고산도시 아야쿠초에서 회담을 갖고 남미국가연합 출범을 위한 기본헌장에 서명한다. 남미국가연합이 기본헌장에 서명하고 나면 내년 3,4월께 의장국 선출, 사무국설립 논의 등을 거쳐 지금부터 약 2년후에 공식출범할 가능성이 높다. 남미의 모든 국가가 뭉치는 남미국가연합이 출범하면 전체 국내총생산(GDP) 8,000억달러 규모에다 1,700만㎢에 이르는 거대한 영토, 가스ㆍ석유ㆍ광물 등 한 세기이상 사용할 수 있는 천연자원을 갖게 된다. 또 내년 중에 메르코수르-EU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타결되면 남미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남미국가연합 추진에 대해 브라질,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등 중도좌파정권이 들어선 국가들은 기쁨을 감추지 못하며 큰 기대감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내심 반갑지 않은 입장이다. 그동안 미국이 10년넘게 추진해 온 미주자유무역지대(FTAA) 창설 논의에서 브라질 등은 미국이 국내 농업보조금 정책에 강력히 반대해왔다. 남미국가연합이 출범하면 소위 미국이 ‘뒷뜰’이었던 브라질 등 남미국가의 협상력이 제고돼 FTAA 창설 논의에서도 만만치 않은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브라질의 경우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추진 등 국제외교 현장에서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에너지통합문제, 부족한 인프라 등이 남미의 완전통합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그동안 심심찮게 내부갈등을 보여온 메르코수르 사례처럼 통합력이 높지 않은 지역연합체로 기능할 가능성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