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철도파업 보름째…열차운행률 70%대 최저수준↓

여당 "철도민영화 않기로 공동 결의”

철도노조 파업 보름째인 23일 열차 운행률이 파업 후 최저수준인 70%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전날 경찰이 철도노조 집행부 검거를 위해 민주노총에 공권력을 투입했다가 실패한 데 대한 노동계 등의 반발도 확산하고 있다.


코레일은 장기간 파업으로 생긴 공백을 메우기 위해 500여명 규모의 신규 및 경력직원 채용계획을 발표했으며 여당은 파업 확산을 막고자 야당에 철도민영화를 하지 않기로 다짐하는 공동결의를 합의처리하자 제의했다.

파업이 3주차에 접어든 이날 전체 열차 운행이 평시 대비 76.1%로 파업 이후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KTX가 평소의 73% 수준으로 떨어진 데 이어 새마을호 56%, 무궁화호 61.5%, 통근형동차 60.9%, 수도권 전동열차 85.7%, 화물열차는 30.1%로 운행된다.

코레일이 파업 장기화에 따라 대체인력의 피로도 등을 고려해 열차안전을 위해 내린 조치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전 3시 10분께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시행 중인 ‘경부고속철도 2단계 대구 도심통과구간 정비사업’ 구간인 경부선 대구역과 지천역 사이 상행선에서 자갈 다지는 기계장비가 궤도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가 나자 시설공단은 오전 8시 44분께 이탈된 기계장비를 복구했으며 이 때문에 23개 열차가 12∼90분간 지연, 운행됐다.

민주노총이 경찰의 민주노총 본부 건물 강제 진입을 비난하며 오는 28일 오후 3시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의한 가운데 노조탄압을 규탄하는 시민사회단체 등의 기자회견이 잇따랐다.


이날 오전 10시 민주노총은 ‘민주노총 침탈, 철도노조 탄압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1987년 이후 민주노조운동의 상징이며 심장부인 민주노총 사무실에 대한 침탈은 노동운동 자체를 말살하겠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관련기사



이어 노조탄압 규탄과 철도민영화 중단을 요구하는 시민사회단체·NGO 기자회견과 여성계 기자회견이 각각 민주노총에서 열린다.

또 오후에는 결의대회와 평화 대행진이 서울 등 전국 8곳에서 열리고 서울지역 야간 촛불집회도 오후 7시 민주노총 앞에서 개최된다. 민노총은 이날 하루 동안은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위한 확대간부 파업을 주도한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철도파업 장기화에 따른 인력 공백을 메우고자 신규 및 경력 사원을 뽑겠다고 밝혔다.

파업 참여율이 높은 기관사와 차장 등 승무 요원을 우선 채용하고 정비 부문은 외주를 주기로 했다.

당장 다음 주부터 외부 정비업체와 계약을 맺고 외부 용역도 시행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이날 철도노조 파업을 둘러싼 갈등이 정치권으로 확산하는 것과 관련, “여야가 철도민영화를 하지 않기로 다짐하는 공동결의를 합의처리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철도노조에 대해 “정치적으로 철저히 이용당한 후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잃은 과거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조속한 업무복귀를 촉구했다.

한편 이번 철도 파업으로 처음 구속된 조합원이 나왔다.

대구지법 안동지원 이종길 판사는 22일 오후 업무방해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철도노조 조합원 윤모(47·영주지역본부 차량지부장)씨를 상대로 영장실질심사를 거쳐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