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무바라크 퇴진 이후] 국내 對중동 수출 영향은

올 증가율 소폭 줄고 대형사업 표류 가능성


이집트의 시민혁명이 중동 및 아프리카 등 인근 국가로 확산될 기미를 보이면서 우리나라의 대 중동 수출전선에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관련 업계는 우리나라가 추진하는 주요 프로젝트가 장기 표류하고 교역이 당분간 위축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13일 지식경제부와 KOTRA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중동 수출 규모가 최근 이집트의 시민혁명을 계기로 상당히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중동 지역에 완성차와 휴대폰∙TV∙자동차부품 위주로 모두 284억달러를 수출하면서 전년에 비해 18.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집트의 경우 역시 같은 기간에 우리나라는 22억4,000만달러어치를 수출했고 9억3,800만달러어치를 수입했다. 하지만 최근 튀니지에 이어 이집트의 정권교체 등으로 지역 정세 불안이 계속되면서 현지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중동 지역에 대한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됐다. KOTRA는 내부적으로 당초 올해 중동 지역의 수출이 지난해보다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하지만 이번 이집트의 정권교체와 함께 민주화 요구가 인근 국가로 확산될 경우 중동 수출 증가율이 지난해에 머물거나 소폭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튀니지에서 시작된 중동 지역의 민주화 열풍은 이집트를 거쳐 알제리나 예멘ㆍ요르단 등 인근 국가로 번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KOTRA는 이집트 사태가 시작되면서 가동했던 비상대책반을 당분간 유지하면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KOTRA는 최근 우리 기업이 이집트 사태로 대금 미결제와 공장 가동중단 등으로 2,521만달러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하기도 했다. 김용석 KOTRA 중동∙아프리카팀장은 "이집트 사태가 실업과 빈곤층이 많고 장기간 절대권력에 의존했던 인근 국가로 도미노처럼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정세불안으로 관련 지역의 소비심리가 위축될 수밖에 없어 올해 전반적으로 중동에 대한 수출 규모가 늘어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산유국이 즐비한 중동이나 북아프리카 지역의 정국 불안 확산은 유가불안에 따른 오일쇼크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이집트의 경우 정권 교체로 최근 들어 추진해왔던 원자력발전소나 플랜트 건설 등 주요 프로젝트가 상당 기간 표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집트는 1,000㎿급의 원전 1기를 비롯해 우리나라와 고속철도와 신재생에너지ㆍ지하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정부 역시 지난달 윤증현 장관이 이집트 현지를 방문해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 기업의 참여를 주문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정권 교체에 따라 사업이 최소한 올해 6개월~1년 정도 순연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식경제부의 한 관계자는 "이집트의 경우 과도정부가 대형 프로젝트를 단기간에 추진할 동력이 없을 것으로 본다"며 "올해 하반기께나 돼야 주요 사업 재개 분위기가 다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