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마음뿐인 워킹대디

30ㆍ 40대 남성 근로자 60~70% “정시 퇴근 못한다”


서울에 사는 30ㆍ40대 워킹대디(기혼 남성 근로자)는 자신의 삶에서 일과 가족의 양립을 바라지만 현실에서는 일을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지난 5~6월 서울시 소재 6개 업종 사업체에 재직중인 기혼 남성 근로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16일 발표했다. 조사에 희망하는 삶의 우선 순위를 묻자 ‘가족 생활과 일의 양립’이라는 답변이 32.3%, ‘가족 생활’이 31.3%를 차지했다. 반면 현실에서의 삶의 우선 순위를 묻는 질문에 38.5%가 ‘일’이라고 답했으며, ‘일과 가족생활 양립’이 22.8%로 뒤를 따랐다. 가족생활 참여와 일의 양립을 희망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정시 퇴근 여부와 일주일간의 휴일을 조사한 결과 30대의 72.5%가 ‘거의 정시에 퇴근하지 못한다’고 답했고 40대는 64.1%가 ‘정시 퇴근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대답했다. 조사 참가자들 중 ‘가사에 아내만 참여한다’고 답한 비율은 50%, ‘가사와 육아 모두 아내만 한다’고 답한 경우가 50% 이상이었으며 육아의 경우는 58.4%가 ‘아내만 하고 있다’고 답했다. 가사와 육아에 참여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육체적 피곤(가사 38.8%, 육아 32.2%)과 시간부족(가사 36.3%, 육아 41.2%)을 꼽았다. 박현경 재단 대표이사는 “30ㆍ40대 워킹대디가 가족과 함께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가족친화적 문화를 조성하고 일과 가족의 양립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