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화장품 산업, 최근 3년간 해외매출↑

전통적인 내수산업으로 분류되는 화장품 산업의 해외매출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0~2012) 주요 화장품 기업의 해외매출 성장률은 연평균 30%를 넘어 전체 매출 증가율을 훨씬 웃돌았다.


LG생활건강의 화장품 해외매출은 지난 2010년 908억원에서 지난해 2,323억원으로 2년만에 156% 급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화장품 매출 성장률 36%의 4배가 넘는 수치다.

해외매출 중 수출액은 2011년 1,384억원에서 지난해 1,845억원으로 1년만에 36% 신장했다. 지난해 해외매출의 영업이익률도 16%로 국내(11%)보다 좋았다.

업계 1위 아모레퍼시픽도 2년만에 해외매출이 2,667억원에서 4,428억원으로 66% 성장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 성장률 38%의 2배 수준이다.


화장품 개발생산(ODM) 업체인 코스맥스는 수출이 226억원에서 292억원으로 늘었을 뿐 아니라 중국 현지법인인 코스맥스차이나의 매출이 252억원에서 586억원으로 뛰었다. 수출과 현지법인 매출을 합친 해외매출이 2년만에 84%가 증가한 셈이다.

관련기사



브랜드숍 미샤를 운영하는 에이블씨엔씨의 수출도 이 기간 174억원에서 283억원으로 64% 늘었다.

주요 화장품 업체의 해외매출 증가는 수출 신장과 함께 외국 업체 인수합병 등으로 해외법인 매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해외매출이 급성장한 LG생활건강의 경우 일본에서 인수한 긴자스테파니의 매출이 반영됐고 코스맥스는 코스맥스차이나의 매출이 급성장했다.

이러한 기업의 수출 호조로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무역수지가 흑자 전환했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10억6,700만달러)이 처음으로 수입액(9억7,800만달러)을 넘어섰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화장품 산업은 내수가 대부분이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 2~3년 새 해외매출 비중이 두자릿수를 차지하는 기업이 생겨나고 있다”며 “제품 경쟁력 향상과 한국 대중문화 인지도가 해외에서 높아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