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 9일에 실시한 파업 찬반투표가 70%의 찬성률로 가결되면서 현대차는 올해도 파업을 겪을 공산이 커졌다. 현대차 노사는 일단 10일 오후 교섭을 재개했지만 큰 진전이 없었다.
문제는 현대차 노조가 요구하는 내용이 단순히 '협상용'이라고 치더라도 과하다는 점이다. 노조의 요구사항을 모두 들어줄 경우 현대차는 3조원, 영업이익의 40%가량을 직원들의 호주머니를 채우는 데 써야 한다.
가뜩이나 1인당 평균 연봉이 9,700만원인 상황에서 '연봉 1억 시대'에 들어가는 것은 물론이고 평균 연봉 1억200만원으로 수위인 삼성전자마저 앞지르게 된다.
현대차는 올 상반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7.1% 감소했고 하반기 들어서도 중국 시장 등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노조는 우선 올해 기본급 대비 7.84% 오른 15만9,900원의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의 요구안이 받아들여지면 기본급만도 연간 192만원 오른다. 현대차 전체 조합원 숫자가 4만8,585명인 점을 감안, 노조의 요구대로 임금을 올리면 연간 932억원의 인건비가 올라간다.
기본급 인상에 따라 각종 수당도 오르게 되면 현재 9,700만원인 현대차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총액 기준으로 1억원을 넘길 수 있다. 현대차는 2011년 5.41% 오른 것을 비롯해 △2012년 5.40% △2013년 5.40% △2014년 5.01% 등 매년 5% 이상 기본급이 올랐다.
노조는 여기에 전년도 당기순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할 것과 주거지원금 및 결혼자금 5,000만원 증액 등도 별도로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7조5,500억원)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면 2조2,650억원에 달한다.
박지순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현대차 생산직 초임 연봉이 5,000만원을 넘는데 이는 하청 업체에 비해 두세 배 높은 수준"이라며 "초임도 비정상적으로 높게 책정돼 있는데다 임금이 생산성과 숙련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호봉에 따라 오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해외공장 생산량에 대한 노사 합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경우 불요불급한 자산 매각 등 경영권 침해 소지가 큰 사안도 요구안에 포함시켰다. 또 '고용 세습'으로 비판 받는 직원 자녀 우선 채용과 관련한 단협 조항을 포함해 50개 조항의 개정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