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숭례문, 옛 장인혼 살려 복원할것"

고건축 분야 인간문화재 대목장 최기영씨


“중시조(中始祖)가 건립한 숭례문이 처참하게 붕괴된 현장을 보니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가슴이 아픕니다.” 고건축 분야의 인간문화재(중요무형문화재 제74호)인 대목장(大木匠) 최기영(63)씨는 숭례문의 화재 현장을 지난 10일 밤부터 지켜보면서 가슴이 무너져내렸다고 11일 전했다. 그의 중시조는 조선조에 한성부판사를 지내면서 숭례문 축조를 지휘했던 최유경(崔有慶ㆍ1343~1413). 그에게 이번 화재는 전통을 갈고 닦아온 고건축 분야의 전문가로서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슬픔까지 겹치는 일대 충격이었다. 최씨는 “600년 보물이 불에 타 없어진 것은 그 가치를 논할 수 없이 안타까운 것”이라며 “무엇보다 장인들의 흔적이 담긴 옛 모습을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씨는 숭례문 원형 복원과 관련해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며 “무엇보다 옛 장인들의 솜씨를 최대한 훼손하지 않으면서 복원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문화재청이 소집한 문화재위원회 긴급회의에도 참석했다. 긴급회의에는 문화재 위원들과 함께 대목장인 최씨,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경복궁 복원사업의 총감독격인 신응수(66) 대목장 등 고건축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신 대목장은 지난 1960년대 초 숭례문을 대대적으로 해체 보수공사할 때 도편수를 맡았던 조원재옹의 제자이기도 하다. 최씨는 긴급회의에 참석한 후 “숭례문 복원사업에 참여하기로 했다”며 “현시점에서 보기로는 복구기간이 2~3년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 예산이 고향인 그는 젊은 시절 당대의 도편수인 김덕희ㆍ김중희씨 밑에서 고건축 목수일을 배워 40여년간 장인정신으로 전통을 이어오다가 2000년 대목장 기능보유자로 지정됐으며 충남 부여군 백제문화역사재현단지 건축공사 등을 이끌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