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3대 쟁점 막판 혼조 대우조선해양 인수전이 막판으로 치닫고 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영향으로 인수후보들이 컨소시엄 구성에 애를 먹는 등 극심한 혼조양상을 보이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본입찰(13일)이 눈앞에 다가왔지만 GSㆍ포스코ㆍ한화ㆍ현대중공업 등 대우조선해양 인수후보들은 아직까지도 적정가격 산출 및 컨소시엄 구성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현장실사가 대우조선해양 노조의 저지로 진행되지 못하자 일부에서는 “매각일정이 미뤄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적정가격 신경전 치열=대우조선해양의 적정한 ‘몸값’을 놓고 지분을 파는 쪽과 지분을 사겠다는 쪽의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시장에서 예상하는 대우조선해양의 몸값은 한때 10조원 이상에 달했지만 최근에는 급격한 주가하락과 금융시장 경색으로 인한 ‘돈 가뭄’ 때문에 절반 수준인 5조~6조원이 거론되고 있다. 실제 몇 달 전만 해도 4만8,000원대에 달했던 대우조선해양의 주가는 이날 2만500원으로 마감했고 시가총액은 3조9,235억원으로 줄었다. 산업은행과 자산공사가 매각하는 대우조선해양 전체 지분의 50.4%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100%까지 붙여도 4조원 미만에 불과하다. 산업은행은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한 듯 최근 “입찰가가 기준에 미달할 경우 유찰시킬 계획”이라며 엄포를 놓기도 했다. 산업은행은 적정인수가를 7조~8조원선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수후보들은 인수가격 하락을 은근히 반기는 분위기다. 특히 일부에서는 “산업은행과 자산관리공사는 이미 예상했던 수익을 다 얻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실제 산업은행과 자산관리공사는 지난 1999년 대우조선해양의 담보ㆍ무담보 채권 9,789억원어치를 출자전환했으며 지난해까지 배당을 통해 이미 절반가량인 4,400억원을 회수했다. 따라서 두 회사는 현재 시장에서 거론되고 있는 가격에 매각해도 상당한 차익을 챙기는 셈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장가치보다는 기업가치에 중점을 두고 가격을 산정할 것”이라면서도 “어느 기업도 아주 높은 가격을 제시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짝짓기, 막판까지 오리무중=인수후보들은 아직까지도 컨소시엄 구성을 마무리하지 못한 채 막판 조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금융권의 경우 신한은행이 포스코와, 국민은행이 GS와,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은 한화와 손잡는 구도로 정리됐다. 하지만 우리은행은 “어느 한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기가 부담스럽다”며 입장 표명을 꺼리고 있고 농협 역시 참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이번 인수전 최대의 재무적 투자자였던 국민연금은 최근 사실상 컨소시엄 참여의사를 철회했다. 어떤 전략적투자자(SI)와 손잡을지를 놓고도 애를 태우고 있다. 당초 포스코 컨소시엄에 약 1,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었던 SK에너지는 전면 보류방침을 밝힌 채 그룹 차원에서 재검토하고 있다. 대한해운 역시 포스코로부터 ‘러브콜’을 받았지만 참여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한화그룹의 경우 두터운 친분이 있는 그리스의 선주사들이 당초 입장과 달리 컨소시엄에서는 빠지되 향후 대우조선해양 육성에만 기여하기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 지분의 0.4%를 확보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우리사주조합이 어느 편을 들어줄지도 막판 변수다. 비록 지분은 크지 않지만 우리사주라는 ‘명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STX그룹 역시 참여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 STX그룹의 한 고위 관계자는 “아직까지 참여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며 “마지막까지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성노조 막판 발목 잡나=최근 대우조선해양의 노조 집행부가 강성노조로 바뀌면서 비가격적인 요소에서 새로운 변수가 돌출됐다. 산업은행은 당초 7일부터 2일간 매수자 현장실사를 실시하기로 했지만 노조의 저지로 진행하지 못했다. 실사기간을 10일까지로 연기하기는 했지만 노조의 반대가 심해 실제 현장실사가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현 집행부는 전임 집행부의 요구사항인 ▦현대중공업 배제 ▦고용보장 및 임단협 승계 ▦오너의 도덕성 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지난 10년간 희생했던 임직원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등을 추가로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인수후보들은 비가격적인 요소를 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비가격적 요소는 전체 배점 중 35%를 차지하는 만큼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라며 “이명박 정부 들어 처음으로 진행되는 대형 인수합병(M&A)이기 때문에 노조와 마찰 없이 순리대로 풀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