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난대수목서 항균물질 추출 제품 개발

전남산림자원연구소가 항균활성 효과를 가진 난대수종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에 나섰다. 전남산림자원연구소는 난대수종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이 곰팡이성 피부병과 어루러기, 비듬 등의 원인균 말라세지아(Malassezia) 균종과 여성 질염 원인균인 칸디다(Candida)균에 대해 뛰어난 항균활성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혀내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개발키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산림자원연구소이 난대수목 13수종으로부터 천연향료물질을 추출해 피부병 원인균, 치아우식균,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효과를 연구한 결과 편백나무, 삼나무, 붓순나무, 녹나무, 비자 등의 추출물이 뛰어난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최대 난대림 집단 자생지인 완도수목원은 산소이온과 음이온뿐만 아니라 난대수종에서 발산하는 피톤치드(Phytoncide) 등이 풍부해 스트레스 해소와 피부질환 치유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난대산림은 난ㆍ온대지역 상록활엽수림으로 온화하고 일교차가 적으며 비가 많이 내리는 남해안과 제주도, 울릉도 등지에 분포한다. 그러나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인해 산림식생이 북상함에 따라 전남도내에서도 붉가시와 동백, 후박나무 등은 쉽게 볼 수 있다. 박화식 전남산림자원연구소장은 “상록활엽수림의 웰빙효과를 연구하고 녹나무, 생달나무, 붓순나무, 황칠나무 등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있으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이를 활용한 천연향수 개발 등 난대림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수수종 선발 등 계속적인 난대수종 육종연구를 통해 지구온난화를 대비하고 수목추출물을 활용한 다양한 소재 개발로 새로운 농가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