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건국대 1호 총장 석학교수에 한동욱 박사

김진규 총장, 전용 승용차 구입비 아껴 석학교수 임용
한 박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서 줄기세포 연구로 두각 대학 총장이 전용 승용차 구입비를 아껴 유명 해외 연구소에서 뛰어난 연구실적을 거두고 있는 젊은 한국인 과학자를 ‘총장 석학교수’로 초빙해 화제다. 건국대는 3일 김진규 총장이 타는 관용차를 반납하고 대신 자전거를 이용하면서 생긴 차량 구입비와 운영비 등 절약 예산으로 연구 실적이 우수한 과학자를 초빙하는‘총장 석학교수’ 제도를 신설, 첫 수혜자로 세계 최고의 기초과학연구기관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동욱(36) 박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이날 오전 새해 첫 업무를 한 박사에게 총장 석학교수 임명장을 수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건국대 관계자는 “김 총장이 지난해 9월 취임하면서 대학의 연구역량을 높이기 위해 학교가 제공하는 총장 전용 승용차를 타지 않고 매일 자전거로 출퇴근하면서 차량 구입비 등을 절약해 만들어진 재원으로 젊고 유능한 외부 과학자를 채용하는 데 쓰겠다는 약속을 실행에 옮긴 것”이라며 “추가 재원이 확보되면‘총장 석학교수’로 젊고 유능한 외부 과학자를 1~2명 추가 영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총장 석학교수로 초빙된 한 박사는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줄기세포 관련 연구로 석박사 과정을 마쳤으며 지난 2008년부터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최근‘줄기세포의 역분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권위있는 과학저널인 셀(Cell)과 네이처(Nature) 등에 논문을 잇따라 게재해 주목을 받았다. 특히 한 박사는 세계적인 줄기세포 석학인 한스 쉘러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생의학연구소장 등과 함께 공동연구를 통해 최근 5년간 22편의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고, 최근 일반세포의 직접 역분화 기술을 개발하는 등 줄기세포와 이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획기적인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 건국대는 한 교수가 당분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자신의 연구팀을 이끌며‘줄기세포의 직접 역분화’와 관련한 기존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파견 근무 형태로 배려하고, 건국대에서 별도의 연구센터를 만들어 강의 등에 구속받지 않고 후속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