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亞 성장 지속하겠지만 내수소비 더욱 늘려야"

버턴 IMF 아태 국장, 위안화 절상 촉구


국제통화기금(IMF)은 향후 아시아 경제가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균형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출중심 경제구조를 내수소비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IMF의 데이비드 버턴(사진) 아시아태평양 국장은 4일(현지시간) ‘향후 아시아 경제의 과제와 전망’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경제는 단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잘 해결할 수 있을 만큼 견고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고 전제하고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출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내수를 진작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아시아 경제 확장은 수출에 너무 의존하고 있다”며 “균형성장을 위해서는 수출보다는 내수소비에 대한 의존비중을 크게 늘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경제는 투자보다는 저축에 치중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면서 “공공지출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사회 안전시설 투자를 늘리는 방식으로 소비를 자극하는 정책을 전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버턴 국장은 중국의 위안화 절상을 촉구했다. 그는 “아시아 경제가 수출과 내수가 조화되는 균형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국가들의 통화신축성이 뒤따라야 한다”며 “특히 중국의 제한된 위안화 절상이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통화 유연성까지 떨어뜨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시아 국가들이 수출촉진을 위해 지나치게 많은 달러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결국 값비싼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며 통화관리의 허점을 노출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버턴 국장은 “아시아 경제는 변동성이 큰 해외 투자자금 유입으로 금융위험이 커지고 있다”면서 “외부 경제충격에 해외자금이 일시에 빠져나갈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해외자금의 급격한 이탈에 대비하기 위해 해외자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환율 신축성을 높이고 제한된 범위에서 불태화정책(sterilization)의 시장개입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버턴 국장은 “아시아 경제는 글로벌 경제에 편입되면 될수록 계층간 소득불균형이 확대되는 문제점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무엇보다 소외지역에 대한 교육ㆍ사회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노동시장을 개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