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 학령인구 1,000만명선 붕괴

통계청 46년만에 최저 990만 예상… 저출산 충격 현실로


저출산으로 학생의 숫자가 1,000만명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학령인구는 990만1,000명으로 지난해(1,006만2,000명)보다 16만1,0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학령인구는 초등ㆍ중등ㆍ대학교에 다닐 연령대인 만 6~21세 인구를 말한다. 학령인구가 1,000만명 밑으로 내려간 것은 경제개발 시기인 지난 1964년(992만5,000명) 이후 46년 만에 처음이다. 학령인구는 '베이비 붐'에 힘입어 1965년 1,040만3,000명으로 1,000만명을 넘어선 뒤 1980년 1,440만1,000명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핵가족화와 가족계획의 영향에 따라 줄어들기 시작해 2003년 1,092만9,000명으로 1,000만명대로 줄었다. 학령인구가 이처럼 감소세를 보이는 것은 1980년대 중반부터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졌기 때문이다. 1970년 4.54명이던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인당 출생아 수)은 올해 학령인구 중 나이가 가장 많은 만 21세가 태어난 1989년에 3분의1 수준인 1.56명으로 떨어졌고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만 6세가 태어난 2004년에는 1.15명으로 낮아졌다. 통계청은 학령인구가 저출산 추세에 따라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학령인구는 오는 2015년 872만8,000명으로 800만명대로 낮아지고 2018년 791만4,000명, 2022년 699만5,000명으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현 추세가 계속된다면 2047년에는 올해의 절반 수준인 494만5,000명에 불과하다. 학교별로는 초등학교 학생(만 6~11세)이 이미 2002년(419만1,000명)을 기점으로 줄어들어 올해 329만7,000명으로 감소하고 2년 후인 2012년(294만명)에는 300만명선도 무너질 것으로 추계됐다. 중학교 학령도(만 12~14세)는 2008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올해는 200만명 아래인 196만2,000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고등학생(만 15~17세)은 올해 206만9,000명을 기점으로 내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서고 대학생(만 18~21세)은 2014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