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계천주변 5개 지구로 정비

서울시가 청계천 복원이후 주변을 각 지역 특성에 맞춰 보존ㆍ정비촉진ㆍ재개발지구등 5개 지구로 나눠 정비한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9일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에 제출한 `청계천 비용편익 및 기본계획중간연구 결과` 보고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는 청계천 주변을 ▲재개발을 금지하고 기존 특성을 보존하는 특성보존지구(인사동, 정동등 8곳) ▲주민자력의 갱신을 유도하는 갱신유도지구(광장시장, 종묘주변 등 3곳) ▲자력갱신과 공동개발을 유도하는 정비촉진지구(세운상가ㆍ창신동등 3곳) ▲철거 및 수복형 재개발을 시행하는 재개발지구 ▲공공투자에 의한 종합정비가 이뤄지는 종합정비지구(동대문 의류상가주변) 등 모두 5개지구로 관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청계천 주변에 대해 인위적이고 과도한 정비보다는 시에서 일단 큰 틀을 정해주고 개발은 민간이 주도하는 것을 정비의 기본 원칙으로 삼았다. 특히 시는 재개발의 경우 기존의 철거중심 재개발보다는 도로 등의 기본 인프라를 시에서 제공하는 전략재개발, 기존 시가지를 유지하는 수복재개발 등 다양한 형태의 도시개발 프로그램을 청계천 개발에 적용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시는 내년 8월까지 청계천 주변 도심재개발기본방향에 대한 용역을 실시해 개발 최종안을 내올 계획이다. 한편 이번 중간보고서는 도심 활성화 방안으로 청계천을 금융중심의 무교동 일대, ITㆍ문화의 세운상가일대, 인쇄출판ㆍ의류패션의 동대문 일대 등 3개구역으로 나눠 민간주도로 개발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청계천 기본계획안은 다음달 시민위원회와 공청회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한영일기자 hanul@sed.co.kr>

관련기사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