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하철역 먼지오염 바깥의 4배

선로바닥 자갈 깐곳이 시멘트보다 오염 심해


서울 시민들은 일부 지하철역에서 바깥 공기보다 4배나 많은 미세먼지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9일 “지난 9~10월 종로5가(1호선)ㆍ잠원(3호선)ㆍ광화문(5호선)ㆍ이태원(6호선)역 등 4개 지하철 역사의 미세먼지를 측정한 결과 승강장의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공기보다 3.8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측정 결과에 따르면 4개 역사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역사 인근 실외공기 29.2㎍/㎥, 환기구 인근 50.2㎍/㎥, 대합실 62.8㎍/㎥, 승강장 11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4개 역 중 종로5가역의 경우 승강장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공기의 7.7배에 달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지하철 차선노반(선로 밑바닥)이 자갈로 이뤄진 1호선 종로5가역(161.1㎍/㎥)과 3호선 잠원역(116㎍/㎥) 승강장의 미세먼지 농도는 시멘트로 이뤄진 5호선 광화문역(83.9㎍/㎥)보다 훨씬 높아 미세먼지 발생의 주범 중 하나가 차선노반의 재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선로 밑바닥이 자갈로 이뤄진 자갈 노반의 경우 열차 운행으로 자갈이 깨지거나 마모되면서 시멘트 노반보다 훨씬 많은 미세먼지를 발생시킨다”고 설명했다. 현재 지하철 1~4호선은 대부분 자갈 노반으로, 5~8호선은 시멘트 노반으로 이뤄져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