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코스닥 기업 '채권 돌려막기' 조심

시스윌·엠텍비젼등 CB·BW 발행 통해 기존 CB·BW 상환<br>"지속땐 이자 부담 커져 수익성 크게 악화"

코스닥 기업 '채권 돌려막기' 조심 시스윌·여리등 CB·BW 발행 통해 기존 CB·BW 상환"지속땐 이자 부담 커져 수익성 크게 악화" 전재호 기자 jeon@sed.co.kr 일부 코스닥 기업들이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주식관련 채권을 발행해 기존에 발행했던 CB, BW의 상환 자금으로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채 돌려막기’가 지속될 경우 기업의 이자 부담은 계속 커져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2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시스윌, EBT네트웍스, 마틴미디어, 여리인터내셔널 등의 코스닥 기업은 과거 CB나 BW를 발행한 뒤 이를 갚기 위해 다시 CB, BW를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26일 15억원 규모의 CB를 발행한 여리인터내셔널은 지난 1월31일 연 10.1% 수준의 수익률로 상환하면서 상환 자금의 원천은 “CB 발행으로 마련한 자금”이라고 밝혔다. 여리인터내셔널은 이에 앞선 1월30일 연 9%의 이자율로 15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한 바 있다. 연 9%의 이자율로 자금을 빌린 뒤 이를 다시 자금 상환에 쓴 것이다. 지난해 3월에 발행한 해외BW를 지난 1월5일 연 10% 이상의 이자율로 전액 상환한 시스윌도 상환 자금의 원천이 “해외BW를 발행해 마련한 자금”이라고 밝혔다. 시스윌은 지난해 10월 28억원 규모의 해외BW를 발행한 바 있다. 또 EBT네트웍스도 지난해 12월에 발행한 BW자금으로 2005년 7월에 발행한 BW를 상환했다고 1월12일 공시했다. 이밖에 마틴미디어는 자기자금과 차입금으로 2006년 3월에 발행한 CB를 상환했다. 코스닥 기업의 한 관계자는 “해외에서 주식관련 사채를 발행할 때 자금 상환 시기를 정해놓는 경우가 많다”며 “영업을 통해 상환자금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다시 CB나 BW를 발행하게 된다”고 말했다. 박상욱 서울증권 투자분석팀장은 “이런 기업 중 일부는 영업상 현금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재무적인 현금으로 메우게 된다”며 “CB, BW 발행에 차질이 생기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은 이에 대해 “CB나 BW 발행은 회사의 자금 계획에 따른 것으로 규제 대상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보였다. 입력시간 : 2007/02/26 17:4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