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방선거 정책공약 대결 '후끈'

與 "일자리 창출 주력" 野 5당 "교육이슈 중심 선거연합"

"유권자의 눈길을 사로잡고 피부에 와닿는 정책공약이 선거의 승부를 가를 수 있다." '6ㆍ2지방선거'에서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한 여야 간 정책공약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여야는 이명박 정부 3년차에 실시되는 이번 지방선거가 이명박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도 지니고 있는 만큼 인물영입 못지 않게 정책공약 개발에 발 벗고 나섰다. 한나라당은 지난해 주목 받은 이명박 대통령의 서민행보와 정부의 서민정책 성과 등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면서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춘 서민정책 공약을 제시, 이번 선거를 '경제회생 세력'과 '경제 발목 잡기 세력'의 대결구도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반면 민주당ㆍ민주노동당ㆍ창조한국당ㆍ국민참여당ㆍ진보신당 등 야5당은 친환경 무상급식 실시, 대학 등록금 상한제 도입 등 교육 이슈 중심의 선거연합 전선을 형성하며 이번 선거에서 이명박 정부의 정책을 심판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한나라당은 이날 20여명 규모의 공약개발단 자문위원을 위촉하고 일자리 창출 공약 개발에 나섰다. 또 이달 중 지역주민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지역순회 타운홀 미팅을 갖고 '맞춤형' 일자리 공약을 내놓을 방침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장ㆍ지방의원 후보 전원을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 공약 제출을 의무화하고 일자리 공약에는 구체적인 목표와 정책수단, 예산조달 방안을 포함하도록 해 매니페스토 정책선거를 정착시킨다는 방침이다. 김성조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경제 활성화,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관통하는 이슈는 일자리 창출"이라며 "지역 및 현장 밀착형 일자리를 개발해 한나라당이 일자리 정책의 원산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등 야5당은 전날 ▦사회 공공 서비스 일자리 대폭 확대 ▦일제고사 반대 ▦아동수당 도입 ▦노동시간 단축 ▦기업형슈퍼마켓(SSM) 규제강화 ▦부자감세 철회 등 12개 분야 공동정책을 발표하는 등 '정책선거 연합'에 속도를 냈다. 민주당은 중앙당 차원의 공약과는 별도로 시ㆍ도별 맞춤형 공약을 마련해 오는 16일 부산, 18일 강원 등 전국을 돌며 발표할 예정이다. 민주당은 이와 함께 21일 4대강 공사 현장에서 권역별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4대강 저지 공약에 대한 매니페스토 선포식도 갖는다. 변재일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이명박 정부 2년 실정에 대한 평가와 함께 미래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 정책으로 승부하겠다"며 "특히 교육과 실업 문제 대책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