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강주변 미관 고려해야" 市, 재개발·재건축 '제동'

금호 정비구역 지정안 보류

서울시가 한강변 주변의 재개발ㆍ재건축 계획에 잇따라 제동을 걸었다. ‘한강 르네상스 사업’을 위해 한강의 관광 자원화를 추진하려면 미관을 고려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시는 지난 28일 열린 제21차 도시ㆍ건축공동위원회에서 1만100평 규모의 성동구 금호 제20주택재개발구역 정비구역 지정안건에 대해 경관을 이유로 보류시켰다. 공동위는 ‘한강에서 바라볼 때 아파트 뒷산에 대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아파트 외관과 배치를 재검토하라’며 보류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의 한 관계자는 “한강변 건축물은 공동위 위원들이 기존에도 경관 요소를 많이 고려했지만 특히 최근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연장선에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시 건축위원회는 35층짜리 초고층 아파트를 짓겠다는 용산 이촌동 렉스아파트의 재건축 계획에 대해서도 ‘창의적인 디자인 계획을 다시 세우라’며 재심 결정을 내린 적이 있다. 높이가 35층이면 시각적 개방성을 더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었다. 한편 공동위는 도봉구 도봉 제2주택재개발구역과 성북구 석관 제3주택재개발구역을 정비구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도봉2동 95번지 일대 4,000평에는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었던 용도지역이 모두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바뀌고 용적률 224.8%, 높이 9~18층 아파트 199가구가 들어선다. 공동위는 다만 도로변 연도형 상가 중간에 보행자 통로와 보행광장을 만들라고 상정안을 수정했다. 석관동 338번지 일대 4,600평에는 용적률 210% 이하, 높이 15층 이하의 아파트 199가구가 건축된다. 공동위는 또 회현동 2가 회현 제2~3지구 도시환경정비구역에 대해 옆 건물(LG CNS빌딩)과의 사이에 난 보행자 통로를 3m로 넓히는 안건도 통과시켰다. 건물간 간격이 너무 좁아 소방활동이 어렵고 환경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민원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이 부지에는 지상 33층, 지하 7층 규모의 주상복합건물이 세워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