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펀드규모 클수록 수익률도 좋다"

운용규모 順 4개 그룹 분류했을때 상·하위 수익률差 31.69% 달해

펀드 사이즈는 수익률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펀드 운용규모가 커질수록 ‘규모의 경제’가 가능해져 수익률에 긍정적이라는 주장과 민첩성이 떨어져 시장변화에 대응하기가 어렵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운용규모가 큰 펀드들의 성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메리츠증권이 지난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순자산 규모 10억원 이상인 주식형 펀드 280개를 분석한 결과 사이즈가 클수록 수익률이 더 높았다. 280개 펀드를 운용규모 순으로 70개씩 4개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사이즈가 큰 그룹의 수익률은 144.79%로 가장 높았다. 사이즈가 두 번째로 큰 그룹이 129.23%의 성과를 올려 뒤를 이었고 가장 작은 그룹과 두 번째로 작은 그룹은 각각 113.1%, 114.24%를 기록해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수익률이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사이즈가 가장 큰 그룹과 가장 작은 그룹의 수익률 차이는 무려 31.69%포인트에 달했다. 또 순자산 규모 상위 10개 펀드와 하위 10개 펀드의 최근 2년 수익률을 비교했을 때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상위 펀드의 2년 평균 수익률이 60.49%, 1년 평균 수익률이 11.16%였던 반면 하위 펀드의 경우 각각 53.5%, 9.33%를 기록해 상위 펀드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더 양호했다. 개별펀드 중에서는 순자산금액 4,304억원으로 10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디스커버리주식형’이 2년 수익률 78.42%, 1년 수익률 19.05%로 가장 높았다. 순자산 2조1,168억원으로 가장 덩치가 큰 한국투신운용의 ‘한국삼성그룹적립식주식 1Class A’는 77.85%의 2년 수익률을 기록해 두 번째로 높았다. 박현철 메리츠증권 펀드애널리스트는 “대형 펀드의 수익률이 더 높다는 것은 국내 펀드들의 대형화가 수익률을 침해하는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소형 펀드의 경우 상대 수익률도 낮고 갈수록 펀드 사이즈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펀드의 대형화가 필요하다고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