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親盧 대선주자도 제갈길 간다

유시민 당복귀 준비·이해찬 대선출마 가닥<br>정계개편 입장따라 통합합류·독자파 '양분'<br>주자간 경쟁구도 형성 단일화 쉽지 않을듯


親盧 대선주자도 제갈길 간다 유시민 당복귀 준비·이해찬 대선출마 가닥정계개편 입장따라 통합합류·독자파 '양분'주자간 경쟁구도 형성 단일화 쉽지 않을듯 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노무현 대통령의 '복심(腹心)'으로 알려진 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이 21일 사퇴하고 당 복귀를 준비함에 따라 친노 성향의 대선주자 그룹이 활기를 띠고 있다. 유 장관 뿐만 아니라 이해찬 전 총리도 그 동안의 대선 불출마 입장을 바꿔 대선 출마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친노 대선주자들의 경우 범여권 정계개편에 대한 입장을 두고 통합합류파와 독자노선파로 양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어 당분간 친노진영은 주요 주자들을 중심으로 다극화될 전망이다. 열린우리당 내 친노그룹에선 김두관 전 최고의원, 김혁규 의원, 한명숙 전 총리가 대권행보를 공식화한 상태며 유 장관과 이 전 총리가 잠재 주자로 꼽힌다. 이중 범여권이 추진중인 통합신당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통합합류파의 대선주자로는 이 전 총리와 한 전 총리가 꼽힌다. 특히 이 전 총리는 정계개편 후 소수의 당 사수파만 잔류하는 열린우리당에는 남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고 최근에는 노 대통령에게 대선출마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전 총리는 통합신당이 꾸려지면 오픈 프라이머리에서 친노진영의 대표주자로서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관측된다. 한 전 총리 역시 당 복귀 이후 범여권 통합에서 역할을 찾겠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혀왔다. 반면 독자노선파로는 김두관 전 최고의원, 유시민 장관 등이 꼽힌다. 김혁규 의원은 당의 공식기구를 통해 추진되는 '질서 있는 대통합'에는 찬성한다는 점에선 표면적으로는 통합합류파로 보인다. 김 의원측 관계자도 "김 의원의 뜻은 대통합"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주변의 시각은 다르다. 김근태ㆍ정동영 전 의장 등이 검토 중인 집단탈당을 통한 통합신당 논의에는 비판적인 입장이란 점을 감안할 때 잠재적 독자노선파라는 분석이다. 더구나 김 의원과 김 전 최고의원은 영남권 주자인만큼 범여권 정계개편이 호남권 중심의 소통합으로 그치게 될 경우 이에 반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 진보적 진영의 지지를 받고 있는 유 장관 역시 이번 대선이 영남 대 호남의 지역 대결구도가 아니라 개혁 대 보수의 노선 대결구도로 자리 잡아야 운신의 폭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한편 이들 주자들의 개인적 인연 등도 각 주자간 복잡하고 미묘한 여운을 남기고 있다. 이 전 총리의 경우 과거 자신의 보좌관을 지냈고 대학 7년 후배인 유 장관이 대권도전에 나설 경우 같은 반열에서 경쟁한다는 점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또 김 의원과 김 전 최고의원은 영남권 주자라는 한 배를 탔지만 지난 2002년 경남도지사 선거 당시에는 각각 한나라당과 민주당 후보로 맞붙었던 맞수였다. 이들은 친노진영의 재건을 위해 협력하면서도 대선구도에선 잠재적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이들 친노주자들의 다극화 구도는 올 대선 구도에 대한 시각차에서 비롯된 것일 뿐 반(反) 한나라당 전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전략에선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게 주변의 분석이다. 입력시간 : 2007/05/21 17:4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