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휴대폰 기술 도난당한다

'GSM방식' 中에 유출 벤처기업 임직원 대거적발유럽형 이동통신(GSMㆍ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방식의 휴대전화 핵심기술을 중국기업에 유출시킨 유명 휴대전화 제조업체 출신 벤처기업 임직원들이 검찰에 대거 적발됐다. 이번 적발로 그동안 소문으로 나돌던 국내 정보통신 핵심기술의 해외 유출이 사실로 확인됐으며 해당 기업이 중국의 공기업이라는 점에서 더 충격적이다. 그러나 해당 기업 ㈜이지엠텍과 중국의 커젠사는 검찰 발표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며 강력 반발, 법적 대응 방침을 밝히고 있어 파문이 예상된다. 서울지검 컴퓨터수사부(황교안 부장검사)는 9일 벤처기업 이지엠텍의 연구소장인 신모(43)씨 등 3명을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하고 이 회사 연구소 과장 사모(31)씨와 법인 이지엠텍을 벌금 500만∼5,000만원에 약식 기소하는 한편 이지엠텍 사장 김모(49)씨와 부사장 김모(39)씨를 지명수배했다. 검찰에 따르면 구속 기소된 신씨 등은 워크아웃 중인 맥슨텔레콤에 근무하던 지난해 7월 이 회사의 유럽형 이동통신방식(GSM) 휴대전화의 회로도와 회로기판 파일(PCB) 등 핵심 기술을 디스켓에 복사, 기술교육을 받으러온 중국의 공기업 커젠의 직원들에게 넘겨준 혐의다. 이지엠텍 사장 김씨는 맥슨텔레콤으로부터 휴대전화기를 반제품 형태로 수입ㆍ판매하던 중국 커젠과 함께 이지엠텍을 설립, 승급과 주식배분, 연봉 인상 등을 조건으로 맥슨텔레콤의 영업 및 기술인력을 영입했다고 검찰은 밝혔다. 또 이지엠텍 연구소 부장인 함모(35ㆍ구속)씨 등은 지난해 11~12월 두 차례에 걸쳐 맥슨텔레콤의 덴마크연구소 직원을 통해 LCD 표시장치와 메시지 등 휴대전화 기능 작동 프로그램인 'MMI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빼내 소유회사, 개발자 이름 등을 바꾼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맥슨에서 퇴직한 함씨 등은 곧 이지엠텍에 입사, 유출했던 자료를 중국 커젠으로부터 다시 넘겨받아 맥슨이 내놓은 휴대전화의 모양만 약간 바꾼 모델을 제조, 싼값을 받고 커젠에 수출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들의 범행으로 커젠과 단말기 한대당 117달러씩 50만대 수출계약을 맺었던 맥슨은 품질불량 등 이유로 수출이 중단돼 275억원 상당의 손해를 입었다고 덧붙였다. 맥슨은 채무구조 악화로 98년 8월 워크아웃 기업으로 선정됐으며 이 회사의 전 대표는 900억원대 재산을 해외로 빼돌린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된 상태다. 한편 이지엠텍은 "맥슨 출신 직원들을 채용한 것은 우수인재 영입차원에서 실시한 것으로 지난해 7월 기술유출은 해당 직원들의 입사 전이라 본사와 관련이 없다"며 "이지엠텍과 커젠은 양사간 기술교류 및 부품조달 계약에 의한 합법적인 기술이전"이라고 반박했다. ◇유럽형 이동통신 방식(GSM)=코드분할다중접속(CDMA)과 함께 휴대전화의 양대 방식 중 하나인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 김정곤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