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증가 속도가 32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 중 가장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도 온실가스를 의무 감축해야 한다'는 국내외적인 압력이 비등한 상황에서 이 같은 결과는 우리에게 또 다른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최근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간한 '세계에너지전망 2009 보고서'에서 지난 2007년 기준 에너지 연소 부문 한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4억8,870만 톤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6위, 전세계 국가 가운데 9위를 차지했다. 1위는 중국, 2위는 미국이었으며 러시아, 인도, 일본, 독일, 캐나다, 영국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990년에 비해 113%나 증가해 증가율이 OECD 국가 가운데 최고를 나타냈다. 같은 기간 OECD 국가의 평균 증가율이 17.4%인 것과 비교하면 6.5배나 증가 속도가 빠르다.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역시 1990년에 비해 113%나 증가해 OECD 국가 가운데 최고였다. OECD 국가의 평균은 17.4%. 다만 절대량으로 볼 때 2007년 기준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10.1톤으로 OECD 평균(11.0㎏)보다 낮았다. OECD 내 순위는 9위였다.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는 발전ㆍ열 부문의 비중이 36.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제조ㆍ건설(18.4%), 교통(18.1%) 순이었다. 제조ㆍ건설 부문 이산화탄소 배출 비중은 OECD 평균인 14.6%보다 높았다. 우리나라의 에너지 효율성은 OECD 국가의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2007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0달러당 0.69㎏으로 세계 평균(0.73kg)보다는 낮았지만 OECD 평균인 0.43㎏보다는 크게 높았다. 1990년을 기준으로 해도 OECD는 평균 22% 감소한 반면 한국은 14.3% 감소하는 데 그쳤다. IEA는 한편 장기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450ppm으로 안정화한다는 내용의 '450 시나리오'를 달성하기 위해 각국이 오는 2013년부터 분야별로 차별화된 감축 수단을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발전ㆍ산업 분야에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국가들부터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하고 2020년부터는 브라질과 중국ㆍ중동ㆍ러시아ㆍ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비 OECD 주요국도 이에 동참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