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지방 수출기업 76% "원고 탓 해외서 고전"

상의, 500개사 조사… 40% " 비상경영 검토"

지방수출기업 10곳 중 7곳은 원고(高)에 따른 외국기업의 공세로 해외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그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수도권 이외 지방에 소재한 수출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수출시장 환경 등을 조사한 결과 75.8%가 이 같이 대답했다.

특히 응답기업의 40.9%는 수출경쟁력 악화에 대비해 '사업구조 재편 등 비상경영 착수를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상황이 추가로 악화될 경우 비상경영에 착수하겠다는 답변도 36.2%에 달했다.


해외시장에서 외국기업에 고전하는 주된 이유에 대해 지방기업의 42.5%가 '환율효과에 따른 가격 경쟁력 상실'을 가장 많이 꼽았다.

관련기사



향후 수출전망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3년간 수출실적 전망을 묻는 질문에 ‘정체될 것’(67.5%)이라는 응답이 ‘늘어날 것’(32.5%)이라는 의견을 크게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자동차ㆍ부품(76.1%), 철강ㆍ금속(72.7%), 전기ㆍ전자(68.6%), 조선ㆍ기계(65.0%), 석유화학(62.9%), 섬유ㆍ의복(61.8%) 순으로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지방기업들은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해외시장으로 중국(23.6%), 유럽(23.2%), 일본(15.0%), 아세안(14.4%). 북미(11.2%) 등을 꼽았다.

수출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 지방기업들은 ‘인력난’(33.1%), ‘높은 물류비’(28.9%), ‘연구개발여건 낙후’(14.4%), ‘업계 네트워크 부족’(13.0%), ‘선도형 대기업 부재’(6.3%) 등을 차례로 지적했다.

지방기업의 수출확대와 경쟁력강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환율ㆍ원자재가격 안정’(51.6%)을 가장 많이 꼽았고 ‘해외마케팅 지원’(15.0%), ‘수출금융 확대’(10.8%), ‘전문인력 양성’(8.3%), ‘항만을 비롯한 기반시설 확충’(5.9%) 등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세계경기침체로 보호무역주의 경향이 심화된 가운데 경기부양을 위해 풀린 풍부한 유동자금을 바탕으로 한 외국기업들의 공격적인 행보가 원화강세와 맞물리면서 국내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