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같은 생필품인데… 판매점 따라 가격 최대 6배差

소보원 101개 품목 조사 두배 이상이 43개 달해

추석을 앞두고 물가 비상이 걸린 가운데 목욕용품 등 생활필수품이 판매점에 따라 최대 6배 이상 비싸 서민들에게 큰 부담을 주는 것으로 파악됐다. 4일 한국소비자원이 작성한 지난 8월 생필품 가격분석보고서에 따르면 편의점과 마트, 전통시장, 동네 점포 등 165개 판매점의 생필품 101개 품목 중 최저가격과 최고가격의 차이가 두 배 이상 벌어진 품목이 43개에 달했다. 같은 제품이라도 판매처에 따라 가격차이가 큰 품목은 즉석덮밥ㆍ즉석밥ㆍ아이스크림ㆍ버터ㆍ참치캔ㆍ된장ㆍ소금ㆍ식용유ㆍ생수ㆍ생리대였다. 이들은 주로 편의점에서 많이 판매되는 것들로 편의점이 소비자들이 손쉽게 찾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주요 생필품을 대형마트보다 비싸게 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대형마트에서는 생수인 '농심 삼다수' 500㎖가 350원이지만 훼미리마트와 GS25는 850원을 받아 무려 500원이나 차이가 났다. 특히 목욕용품 '해피바스 에센스 로맨틱 바디워시'의 평균가격은 8,019원인데 최저가격이 2,000원, 최고가격이 1만2,700원으로 6.3배 이상 차이 났다. 가격차이가 2배 이상 발생한 제품은 주로 세탁ㆍ주방ㆍ가사용품, 이ㆍ미용품, 과자ㆍ빙과류에 집중됐다. 이에 대해 편의점 업계에서는 각종 유통ㆍ판매ㆍ유지비용이 고려된 것이라고 항변하고 있으나 똑같은 생필품 가격이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소비자원의 한 관계자는 "같은 제품인데도 판매장소에 따라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면서 "생필품을 사기에 앞서 해당 제품의 적정가격을 확인해보고 사야 똑같은 제품을 비싸게 주고 사는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