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전립선비대증 환자 요실금 주의

17%가 절박성 요실금 동반<br>자극적 음식·스트레스 피하고 적절한 운동으로 예방해야

여성에게 흔한 것으로 알려진 요실금이 남성 전립선비대증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비뇨기과 김준철 교수팀은 최근 병원을 찾은 남성 전립선비대증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7.2%(35명)가 '절박성 요실금' 증상을 동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요실금이 이제 여성만의 질환이 아니라 남성에게서도 흔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절박성 요실금은 방광이 너무 예민해져 소변을 보러 화장실을 자주 들락거리거나 때로는 소변을 참지 못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흘러나오는 증상이다. 이 증상은 합병증으로 우울증과 대인관계 기피증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번 조사에서 전립선비대증과 요실금이 함께 있는 환자의 평균나이는 67세로 대다수가 노년층이으로 나타났다.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남성에게 요실금이 생기는 것은 전립선이 커지면서 전립선 바로 위에 있는 방광 출구가 닫혀 방광 근육 및 점막에 기능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 방광이 극도로 예민해져 소변 조절이 뜻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김 교수는 "여성 요실금이 주로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비롯된다면 남성 요실금은 전립선비대증이나 전립선암 수술 후 주로 발생한다"면서 "노인의 요실금을 방치하면 요로감염의 원인이 되고 방광 기능도 다시 회복하기 어려운 만큼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성 요실금을 예방하려면 평소 자극적인 음식과 스트레스를 피하고 적절한 운동을 해야 한다. 쌀쌀한 날씨와 지나친 음주는 소변양을 늘릴 뿐만 아니라 배뇨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며 자극성이 강한 차나 커피도 가능하면 피해야 한다.

자기 전에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하면 야뇨 증상이 심해지므로 오후7시 이후에는 수분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배뇨 간격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통해 증상 완화와 악화 방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