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7월 경상흑자 49.4억弗…9개월만에 최고

지난달 경상수지가 17개월째 흑자 기조를 유지하며 9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49억4,000만달러로 전월보다 29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작년 10월의 51억1,000만달러 이후 9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작년 3월 이후 이어진 흑자 행진을 지속했다. 상품수지 흑자는 철강, 석유제품 등의 수출 호조로 전월 27억달러에서 58억9,000만달러로 확대됐다. 서비스수지는 운송서비스 수지 개선에도 불구하고 건설서비스 흑자가 축소되고 하계휴가 등 계절적 요인으로 여행 지급이 늘어나 적자 규모가 전월의 6억3,000만달러에서 6억9,000만달러로 소폭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의 흑자 규모는 배당 지급이 크게 늘어 전월의 2억4,000만달러에서 7,000만달러로 줄어들었다. 이전소득수지 적자 규모는 대외송금이 늘면서 전월의 2억8,000만달러에서 3억4,000만달러로 커졌다. 금융계정은 순유출 규모가 전월과 비슷한 32억달러를 기록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 회수가 크게 늘어 전월의 21억4,000만달러 유출에서 3억3,000만달러 유입으로 전환됐다. 증권투자는 외국인의 채권 및 주식 투자가 크게 늘어 전월의 14억달러 유출에서 92억6,000만달러 유입으로 전환됐다. 기타투자는 은행의 차입금 상환 등으로 유출 규모가 전월의 4억6,000만달러에서 73억달러로 확대됐다. 자본수지는 1,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한은 양재룡 금융통계부장은 “8월 수출 증가세 둔화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하계휴가가 집중되는 계절적 요인을 감안해야 한다”며 “7월에 49억달러 흑자를 달성한 만큼 하반기 61억달러 경상흑지 흑자 전망치는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6~7월 대유럽 수출이 작년동기 대비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선박 수출이 줄어든 때문으로 이를 제외하면 증가세를 유지했다”며 “대미 수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반도체 가격 하락과 LCD 수출 부진 등의 영향이 컸다”고 밝혔다. 7월 기타투자 유출이 커진 것에 대해서는 “선물환 포지션 한도 축소 등 외환규제가 7월1일부터 시행되면서 은행의 차입금 상환 등이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