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폭증하는 수입차, 실상과 과제] <하> 성장만큼의 역할 다해야

맞춤형 AS·브랜드 걸맞은 사회적 책임 필요

"대규모 사회재단 운영 BMW 벤치마킹" 목소리

과도하게 변하는 가격정책… 비싼 수리비도 바로 잡아야

BMW코리아미래재단이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주니어 캠퍼스'에 참여한 아이들이 친환경 에너지 차 모형을 보면서 활짝 웃고 있다. '주니어 캠퍼스'는 영종도에 위치한 BMW 드라이빙센터 내에서 열리며 연중 진행된다. /사진제공=BMW코리아

BMW코리아의 사회공헌재단인 BMW코리아미래재단은 지난해에만 27억8,100만원을 매칭펀드로 조성해 아이들 과학교육과 저소득층 자녀 지원 등에 썼다. 고객이 3만원을 내면 BMW코리아와 BMW파이낸셜서비스, 딜러사가 각각 같은 금액을 내 기부금을 만드는 구조다. 김효준 사장은 "100억원 규모로 키울 꿈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30억원을 넘어선다.

이처럼 BMW의 사회공헌활동은 국내 진출 해외 기업 가운데에서도 손꼽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 진출한 해외기업 중 사회공헌재단을 갖춘 곳이 극히 드문데 그마저도 대부분 3억~4억원 규모"라며 "BMW는 수입차뿐만 아니라 외국계 기업 전체로도 모범사례"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눈을 조금만 돌려 다른 수입차 업계를 보면 상황은 달라진다.

수입차 업계가 급성장하고 있지만 그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는 배경이다.

실제 '티구안'이 히트하면서 국내 판매량이 급증한 폭스바겐은 지난 2013년도 기부금이 '0원'이다. 아우디도 2013년 기부금이 2억원에 불과하다.


벤츠는 지난해 약 11억원으로 전년(4억5,000만원)보다 2배 이상 늘었지만 여전히 매출 대비 공헌 액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관련기사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고급 '럭셔리' 브랜드인 만큼 사회공헌활동도 수준 높게 해야 한다"며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소비자 만족도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오락가락하는 가격 정책도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할인 같은 가격정책은 판매자의 마음이지만 상황에 따라 그 폭이 과도하게 변한다.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에도 차 값이 내려가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마케팅상 필요할 때면 큰 폭의 할인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아우디와 재규어·BMW 등은 지난달부터 일부 차종에 한해 최대 20~25% 달하는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 싸게 산 고객들은 좋지만 제값 주고 산 이들만 손해를 보는 셈이다.

부족한 정비시설도 더 늘리고 서비스 형태도 더 다양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객의 요구에 따라 상대적으로 싼 수리부터 고급 정비까지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브랜드별 AS센터는 BMW 45곳, 메르세데스벤츠 41곳, 폭스바겐 28곳, 아우디 25곳이다. 정비시설 1곳 평균 차량 처리 대수는 보통 수천대다. BMW가 4,665대, 아우디가 4,541대, 폭스바겐이 4,387대, 메르세데스벤츠가 4,188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비스 기간이 길어져 불만을 제기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게다가 수입차 부품은 국산차 대비 4.66배, 공임은 2.05배 더 비싸다. 일부 부품은 현지에서 부품을 공수해와야 해 독일 현지보다 20% 정도 가격이 더 비싼 경우도 많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소비자 불만이 많은 수입차 AS 서비스의 경우 싼 패키지부터 고급패키지까지 부품의 질과 공임료를 다양화하면 더 많은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경우 전체 파이가 커져 수입차 업체들에도 이익이 되고 소비자도 편리하게 수입차를 고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