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합민주당 당내 권력투쟁 비화

정국교 비례대표 당선인 구속 파문…박상천 대표등 옛민주계 손학규측에 책임 떠넘겨

주가조작 혐의로 구속된 통합민주당의 정국교 비례대표 당선인 파문이 당내 권력투쟁으로 번지고 있다. 박상천 공동 대표 등 구 민주당계가 이번 사태의 책임을 손학규 대표측에 떠넘기면서 계파간 당권갈등이 표면화되는 분위기다. 민주당은 정 당선인 파문에 대한 대응방안을 놓고 ‘신중론’과 ‘조기 진화론’ 사이에서 고심 중이다. 신중론은 ‘선(先)진실규명-후(後)대응’을 골자로 하는 것으로 손 대표를 포함한 당 지도부의 공식 입장이다. 정 당선인의 혐의에 대한 진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재판부의 판결을 본 뒤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구 민주계 등은 ‘선 대응-후 진실규명’을 주장하며 지도부를 압박하고 있다. 일단 정 당선인에게 사퇴를 권고한 뒤 수용되지 않을 경우 출당이나 제명을 통해 조기에 ‘방화벽’을 쳐야 한다는 주장이다. 혐의의 진위를 밝히는 일은 그 이후 정 당선인 본인이 재판을 통해 밝히면 된다는 것이다. 민주당으로선 양 진영 사이에서 어떤 결단을 내려야 할지 진퇴양난이다. 신중론을 고수하자니 정 당선인의 혐의가 보도될 때마다 당명이 거론되는 게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고, 조기 진화에 나서자니 공당이 사법부의 진실규명이 있기도 전에 마녀사냥식 여론재판으로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이 같은 논쟁의 본질이 따로 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지난 4ㆍ9총선 공천과정에서 대거 고배를 마셨던 구 민주계와 정 전 장관계가 정 당선자 파문을 빌미로 손 대표측에 대한 보복공세를 하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다. 민주당의 한 중진은 “DY(정 전장관)계는 이번 공천에 관여를 하지 않았으니 비판권이 있을 지 모르지만 구 민주계는 박상천 (공동)대표가 손 대표와 함께 비례대표 공천권을 행사했는데도 화살을 손 대표에게만 돌리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