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靑 경제수석 '관료출신'에 무게…이르면 내주 결정

최근 대통령실 직제개정에 따라 부활된 청와대 경제수석에 대한 인선이 이르면 다음주에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일각에서는 '경륜 있는 관료출신'이 이명박 대통령의 최종낙점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6일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경제수석 선임을 위한 후보검증 작업 등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이달 안에 인선작업이 마무리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 대통령의 의중에 경제수석 적임자가 어느 정도 결정돼 있을 수도 있다"면서 "다만 다양한 측면에서 후보의 능력을 검증하는 데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안팎의 관측통들에 따르면 신임 경제수석은 경제관료 출신 쪽으로 무게가 쏠리는 분위기다. 집권 3년차를 맞아 경제정책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조율할 능력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가 출범 3년째인 점을 감안하면 경제수석 자리는 정책을 치밀하게 조율하는 능력이 가장 우선되는 기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일단 경제수석이 관료 출신에서 나온다면 검증시간이 축약되면서 다음주에 발표될 수도 있다. 장ㆍ차관과 청와대 참모 등 정부 고위직에 대한 인선 과정은 인사데이터베이스를 통한 후보자의 추출 및 내외부의 추천을 받은 뒤 10여일간의 후보 검증과정을 거쳐 대통령의 최종 낙점을 받아 결정되는데 이 과정에서 후보자가 공직자 출신일 경우 이미 검증자료가 있어 인선기간이 짧아지고 학자 등 민간인 출신일 경우 후보결정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현재 경제수석을 겸임하고 있는 윤진식 청와대 정책실장이 오는 7월 충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한 뒤 정책실장을 별도로 두지 않을 계획이라면 '중량급' 인사가 선임될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는 지난해 8월 말 조직 개편을 통해 정책실장을 신설, 경제수석실을 비롯해 국정기획ㆍ사회정책ㆍ교육과학문화수석실을 관장하도록 했으며 윤 실장에게 겸임시켰다. 현재 신임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인물들은 경제관료 출신으로 기획재정부의 허경욱ㆍ이용걸 제1ㆍ2 차관과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 청와대의 임종룡 경제금융비서관과 김동연 국정과제비서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