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 물류 효율성 점점 좋아진다

무협, 종업원 10명이상 1,272곳 조사

우리나라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무역협회가 종업원 10명 이상 국내 1,272개 업체를 대상으로 벌인 ‘2009년도 기업물류비 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율은 8.37%로 2007년(9.1%)과 비교해 0.73% 포인트 떨어졌다.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수출입물류비 포함) 비율은 1997년도 12.9%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이는 정부와 업계의 지속적인 물류 개선및 효율화 노력 때문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의 순수 국내물류비 비율은 6.63%로 경쟁국인 일본기업의 4.77%에 비하면 여전히 높아 물류비 절감을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16.80%), 기계·장비(10.62%), 음식료품(10.35%)의 물류비 비율이 높았고, 가죽·신발(3.20%)과 전자부품·통신장비(4.34%)는 낮아 이들 두 업종의 물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나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기업의 기능별 물류비 비중은 보관비 52.6%, 운송비 41.9%, 포장비 3.4%, 하역비 1.6% 순으로 컸다. 보관비 비중이 운송비 비중보다 높은 것은 최근 중소업체들을 중심으로 재고 부담에 따른 이자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으로 보인다. 영역별 물류비는 판매물류비가 69.0%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이어 조달물류비 20.8%, 사내물류비 9.8%, 회수물류비 0.4% 순이었다. 기업물류비는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지만 업체들은 유가ㆍ인건비 상승, 시설 임차료 인상 등의 영향으로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업체들은 물류비 절감을 위해 배송빈도 개선, 적재율 향상 등의 자구노력을 하면서 전문 물류기업을 통한 아웃소싱이나 물류공동화 같은 선진 물류관리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아가 물류거점에 대한 행정ㆍ세제지원 확대, 첨단 물류시스템 보급, 물류운영시스템 개선, 물류전문기업 육성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기대했다. 한편 무역협회는 응답업체의 80%가 물류전담부서 없이 물류비를 산출하거나 관리하는 등 기업물류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아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