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경제가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는 가운데 해외건설이 호조를 보이고 있어 한가닥 위안이 되고 있다. 건설교통부에 다르면 올들어 7월 말 현재 해외건설 수주액은 37억7,000만달러에 달해 지난해 연간 수주실적 36억6,000만달러를 넘어섰다.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경우 연말까지 60억달러를 무난히 넘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역별 수주실적을 보면 중동지역이 21억달러로 가장 많고 동남아 12억8,000만달러로 해외건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동안 관심밖에 있던 해외건설이 주목되는 것은 고유가로 중동지역에 오일머니가 집중돼 건설붐이 재개될 가능성이 크고 이를 잘 활용할 경우 건설업체의 어려움은 물론 경제난을 완화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건설은 1차, 2차 오일쇼크 당시 중동 산유국으로부터 막대한 오일달러를 벌어들임으로써 경제위기를 넘기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을 뿐 아니라 개발연대 고도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해온 것이 사실이다. 지난 2002년까지 해외건설을 통해 벌어들인 순외화만도 260억달러에 달하고 연 300만명의 고용을 창출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다만 상품수출이 확대되고 국내 건설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중동지역의 건설붐이 식어 한동안 해외건설은 관심권 밖에 놓여있었다.
그러나 해외건설 여건이 크게 바뀌고 있다. 우선 최근 고유가 지속에 따른 오일머니의 증가와 이라크 재건사업 등이 가시화되면서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건설붐이 재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같은 국내외 환경에 비추어 해외건설에 적극 나설 경우 ‘제3의 중흥기’를 맞게 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국내 경제침체에다 건설경기 급랭으로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어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에서 해외건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국내 건설업계가 해외건설에서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서는 수주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일차적인 과제이다. 국내 건설업계는 해외건설에서 많은 실적과 좋은 이미지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노력하는 만큼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기초적인 여건은 마련돼 있다. 둘째로는 부가가치가 높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술수준을 높이는 일이다.
다시 말해 저임 노동력에 의존하는 토목사업 등에서 벗어나 플랜트 사업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공사에 대한 수주와 시공능력을 높여나가야 한다. 아울러 해외건설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파이낸싱 능력도 동시에 높여야 한다. 모처럼 조성되고 있는 해외건설 붐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업계와 정부의 공동노력을 강화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