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ㆍ4분기 중 중산층 가구도 네 가구 중 한 가구꼴로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크게 늘지 않은 상태에서 농수산물, 기름 값 등 생필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지출부담만 커져 적자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25일 통계청의 가계수지동향 자료에 따르면 2ㆍ4분기 전국가구(농어가 및 1인가구 제외) 중 벌어들인 소득보다 지출이 더 많은 적자가구의 비율은 28.1%로 전년 같은 기간(27.8%)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2ㆍ4분기만 놓고 볼 때 이 같은 적자가구 비율은 2003년 이후 가장 높다. 실제로 2ㆍ4분기 적자가구 비율은 2003년 28%에서 2004년 27.3%, 2005년 26.8%로 떨어진 후 2006년 27.8%, 2007년 27.8%에 이어 올해는 28.1%로 다시 상승세를 나타냈다. 적자가구 비율은 소득과 지출의 수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다른 재산상황은 반영되지 않는다. 고소득층이나 중산층이라도 해당 기간에 버는 것 이상 지출하거나 목돈을 쓰면 적자상태에 빠질 수 있다. 소득계층별로는 중산층에 해당하는 소득 4~7분위 중 적자가구의 비율이 23.7%로 전년 동기(22.5%)에 비해 1.2%포인트 높아졌다. 소득 상위 30%에 해당하는 고소득층인 8~10분위의 적자가구 비율도 지난해 11.4%에서 올해 12.3%로 0.9%포인트 상승했다. 소득 하위 30%인 소득 1~3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같은 기간 51.2%에서 49.6%로 소폭 내려갔지만 여전히 절반에 가까운 가구가 적자에 허덕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시근로자가구의 적자가구 비율 역시 지난해 22%에서 23.2%로 1.2%포인트 높아졌다. 도시근로자가구 중 소득 4~7분위와 8~10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각각 21.7%와 10.6%로 1년 전에 비해 2.9%포인트와 1%포인트 높아졌다. 소득 1∼3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37.7%로 0.9%포인트 낮아졌다. 이처럼 전국가구는 물론 도시근로자가구도 2ㆍ4분기에 적자가구 비율이 높아진 것은 경기침체로 소득은 크게 증가하지 않은 가운데 물가가 급등하면서 지출 부담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의 한 관계자는 “적자가구 비율은 가구별로 소득과 지출의 차이를 비교해 얼마나 많은 가구가 적자상태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며 “최근 고유가 등으로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실제 소비가 늘지 않더라도 소비지출 부담이 늘어 적자를 보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