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입시교육 시장 규모 4년새 2배

2009년 7조6,730억 달해<br>기업형 학원수 92.3% 늘어


공교육 붕괴 및 사교육 광풍으로 입시교육 시장 규모가 지난 4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커졌다. 특히 개인이 운영하는 입시학원보다는 대규모 기업형 입시학원이 더 많은 이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9일 발표한 '최근 5년 학원사업자 등록추이 및 신고수입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사교육 열풍으로 4년간 입시교육 시장규모는 3조9,907억원에서 7조6,730억원으로 92.3%나 증가했다. 지난 2009년 전국 입시학원 수는 5만4,714개(예체능 제외)로 파악됐고 이 중 개인 운영 입시학원은 5만3,845개, 법인사업자 운영 입시학원은 869개로 나타났다. 2005년 전국 입시학원 수는 3만947개로 개인운영 3만495개, 법인운영 452개였다. 이들 입시학원이 올린 전체 수입규모는 7조6,730억원으로 이 가운데 개인운영 입시학원은 5조7,247억원, 법인운영 입시학원은 1조9,483억원의 수입을 각각 차지했다. 숫자에서는 1.6%에 불과한 법인운영 입시학원이 전체 수입액의 25.4%를 점하는 등 심한 편중을 드러낸 것이다. 급격히 늘어난 입시학원 시장의 이득은 개인보다는 입시학원을 대규모로 운영하는 법인사업자들에게 더 많이 돌아간 것으로 분석됐다. 개인운영 입시학원의 전체 소득액은 4년간 75.6%(3조2,599억원→5조7,247억원)가 늘어났으나 입시학원 수도 76.6%(3만495개→5만3,845개)나 증가해 평균 수입은 2005년 1억700만원에서 2009년 1억600만원으로 오히려 100만원 줄었다. 반면 법인운영 입시학원의 학원 수는 4년간 92.3%(452개→869개)가 증가했으나 이들의 수입은 이보다 훨씬 많은 166.6%(7,308억원→1조9,483억원)나 급증해 평균수입도 16억1,700만원에서 22억4,200만원으로 38.7%나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