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오락가락 유가정책 탓 RV판매 "온탕"-"냉탕"

최근 자동차업계가 가장 힘들어 하는 것은 끝없이 오르는 디젤(경유) 가격이다. 정부는 오는 7월1일부터 디젤 가격을 가솔린의 75%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이 경우 경유값은 리터 당 63원이 올라간다. 당연한 수순이지만 정부 계획이 알려지자마자 RV의 판매가 급격히 줄었다. 그동안 자동차 내수시장을 선도해 온 ‘마지막 보루’라고 할 수 있는 RV시장의 위축으로 승용차 내수시장의 침체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자동차공업협회는 당장 올해 내수시장에서 RV수요가 지난해보다 40% 줄어든 2만1,000대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 관계자는 “정부의 ‘춤추는 자동차 정책’이 RV수요를 위축시키는 주범”이라고 꼽고있다. 지난 2000년 LPG차량의 수요가 갑자기 크게 증가했다. 당시 정부는 LGP가격 인하를 주요 골자로 한 유가조정 정책을 펼쳤었다. 당시 RV의 90%가 넘는 엔진이 LPG 연료 엔진으로 출시됐을 정도다. 이 같은 수요폭발로 LPG를 수입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정부는 다시 LPG 가격을 올리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급선회했다. 그 결과 LPG 차량의 수요는 영업용 차량 이외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덕분에 경유차량 수요가 늘었다. RV는 낮은 경유가격과 연비의 우수성으로 차량가격이 높았지만 국내 승용 산업수요의 50%를 웃돌 정도로 인기를 끌었었다. 최근 정부가 유가정책을 또 다시 급선회하자 RV가 직격탄을 맞았다. 결과적으로 지난 2~3년 ‘경유RV의 바람’을 일으킨 주역도 정부이고, 최근의 ‘경유RV의 거품’붕괴를 촉발한 것도 정부인 셈이다. 정책 선택은 여건이나, 필요에 의해 바꿀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관련 산업의 기반이 휘청거릴 정도로 타격을 받는다면 그 부메랑은 고스란히 국민경제로 돌아가게 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