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국내은행 경쟁력 현황] "추가합병 필요하다" 69%

전문가들은 「금융 빅뱅」의 소용돌이를 헤치고 나온 은행들이 변신을 위해 펼치고 있는 노력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아직도 외국의 선진은행들과 맞서 싸울 수 있을 만큼의 경쟁력을 확보하지는 못했다고 진단했다.전문가들은 우리 은행산업이 다가오는 「21세기 금융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추가 합병을 거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매금융 전문은행간 합병 및 국책은행간 합병 등 「2차 짝짓기」를 통해 밀려오는 외국 거대 자본 앞에서 다시 한번 전열(戰列)을 가다듬어야 한다는 것. ◇선진 기법 도입은 잘했다= 설문에 응한 전문가 가운데 58%가 「우리 은행들의 자산운용 능력이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나아졌다」고 응답했다. 앉아서 돈장사 하던 구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장개척과 마케팅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평가다. 한 전문가는 『여신심사 전문가를 채용하고 심사역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는 등 대부분의 은행이 선진 기법을 도입하고 있는데, 늦은 감이 있지만 바람직한 일』이라고 밝혔다. 응답자 가운데 67%가 「은행의 조직문화가 이전에 비해 많이 바뀌었다」고 답했다. 이들이 꼽은 가장 큰 변화는 「연공서열 파괴」(43%)였다. 「이사회 중심 운영」(40.2%)과 「은행장 권한 축소」(10.4%)도 조직문화 변화의 주요인이었다. ◇영업관행은 제자리 걸음= 응답자중 58%가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이후 우리 은행들의 영업관행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금 바뀌었다」고 응답했다. 「많이 바뀌었다」는 응답도 28%에 달했지만, 이 가운데 67%는 은행권에서 나온 것. 「바뀐게 거의 없다」는 부정적인 반응도 13%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은행의 변신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낙후된 여신관행」(38%)을 지적했다. 여신관행의 문제점(복수응답)으로는 「담보대출」(33명)을 지적했다. 「여신전문가 부족」(31명), 「연줄을 통한 청탁에 약한 모습」(16명) 등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이밖에 「해이해진 책임감」, 「기업분석에 취약」, 「안이한 심사」, 「연대보증」 등을 꼽은 응답자도 있었다. ◇추가 합병은 선택이 아닌 필수= 무려 69%가 추가 합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은행 임원들조차도 추가 합병과 감원을 무릅쓰고라도 2차 합병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설문에 응한 은행 임원 25명 가운데 15명이 2차 합병 필요성을 제기했다. 전문가 집단별(각 25명)로는 연구소 18명 재계 15명 제2금융권 21명이 각각 추가 합병이 필요하다고 응답, 2금융권 종사자들의 은행 추가합병에 대한 욕구가 가장 컸다. ◇적절한 합병시기는 내년= 최적의 시기로 2000년에서 2001년 사이를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55%가 이 시기를 꼽았다. 구조조정이 마무리되고 각 은행의 특징이 구체화되는데 2~3년이 필요하며, 이후 진정한 선도은행(LEADING BANK)의 출현을 위해 가장 적절한 시기가 2000년초라는 것. 외국은행의 본격적인 시장잠식도 이때 시작되는 만큼, 추가합병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많았다. 한편 올해 안에 추가합병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24%에 달해 눈길을 끌었다. ◇국민-주택이 이상적 조합= 전문가 5명중 1명꼴(19.5%)로 국민과 주택은행의 합병이 가장 적절하다고 대답했다. 이들 은행이 소매금융 주력이므로 합병을 통해 경쟁력을 배가시켜야 한다는 논리. 합병 조합 2위를 차지한 곳은 「하나+신한」. 견실한 두 후발은행을 합쳐 「규모의 경제」를 이루자는 발상이다. 10% 가량이 두 은행간 합병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비슷한 측면에서 하나-한미은행간 합병 필요성을 주장한 사람도 다수였다. 「국민+외환」도 효율적 조합으로 꼽혔다. 소매금융 주력인 국민은행과 도매금융의 외환은행을 합쳐, 「보완효과」를 달성하자는 취지로 분석된다. 지방은행끼리 합치거나 지방은행을 시중은행에 흡수합병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았다. 특히 눈길을 끈 대목은 국책은행간 합병. 산업-기업-수출입은행을 하나로 합치거나, 최소한 산업-기업은행을 합병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재 국책은행들의 경영상태가 좋지 않은 점은 감안, 합병을 통해서라도 국책은행들의 경영상태를 끌어올릴 필요성이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정책의 일원화 차원에서도 합병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상복 기자 SBHAN@ 김영기 기자 YGKIM@SED.CO.KR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