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독이든 성배' 한수원 사장 누가 맡나

관료출신 조석·김영학 거론<br>장순흥·문재도 등도 물망에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자리는 이제 '독이 든 성배'라고 할 만하다. 원자력계의 수장이 된다는 영예보다는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르는 원전 사고의 희생양 역할을 각오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년 만에 다시 불거진 원전 위조 부품 파동으로 김균섭 한수원 사장이 물러난 가운데 정부가 10일 공고를 내고 신임 사장 선임절차를 시작한다. 김 사장은 지난해 6월에 취임해 오는 2015년 6월까지가 임기였지만 임기 전 벌어졌던 한수원의 각종 비리 뒷수습만 하다가 두 차례 위조 부품 파동을 겪은 후 결국 자리를 떠났다.


관심은 자연스레 다음 수장 후보로 쏠린다. 관계부처와 업계에서는 결국 원자력 업계를 잘 아는 관료출신이 올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석ㆍ김영학 등 전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출신들이 먼저 후보군 물망에 먼저 오르내린다. '해결사' 이미지가 강한 조 전 차관은 원전사업기획단장을 맡으면서 방사성폐기물처리장 부지 선정 문제를 매듭지은 화려한 이력이 있다.


김 전 차관도 에너지자원개발본부장을 지내는 등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로 꼽힌다. 포스코경영연구소 사장으로 재직 중인 그는 최근 '에너지 자원 정책의 재도약'이라는 책을 통해서도 원전의 안전성 강화를 강조해왔다.

관련기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있었던 장순흥 KAIST 교수나 지경부 자원개발원전정책관을 지냈던 문재도 청와대 산업자원협력실장도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정부부처 관계자는 "적어도 원자로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아는 사람을 뽑아야 하는데 김 사장을 대체할 만한 인물을 찾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