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G카드 대주주지분 완전감자] “추가 채무조정해야 정상화” 판단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출자전환과 감자 등 추가 채무재조정을 추진하면서 LG그룹의 기존 주주들에게도 추가로 손실을 부담하도록 함에 따라 LG카드 처리문제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 같은 방침은 LG카드의 부실을 당초 2조원대로 추산해 회생방안을 마련했으나 회계법인의 실사 결과 손실규모(3조2,402억원)가 워낙 커 추가 채무재조정 없이는 경영정상화도 매각도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채권은행이나 보험사들의 추가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LG카드 대주주인 LG그룹측도 공평하게 손실을 분담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LG측이 추가적인 자구노력을 벌이도록 다시 압박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채권금융기관은 물론 LG카드의 기존 대주주와 소액주주 등 모든 이해 당사자들이 이 같은 방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 24일 회의에서도 합의를 도출하지 못해 최종 방안을 확정하기까지는 큰 진통이 예상된다. 한편 LG카드 처리방안이 이처럼 수정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은행과 우리금융지주회사 등이 입찰참여에 여전히 난색을 표명하고 있어 매각작업도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매각조건, 어떻게 바뀌었나= 채권단은 우선 8개 채권은행의 출자분을 1조원에서 1조5,000억원으로 늘리고 삼성ㆍ교보ㆍ대한생명 등 채권이 많은 3개 대형보험사도 5,000억원을 출자전환 하도록 했다. LG카드 인수자의 자본확충 규모도 1조원에서 1조5,000억원으로 늘려 사실상 인수가격을 크게 높였다. 채권단은 특히 LG그룹에 대해서도 카드채 인수를 통해 지원하기로 한 8,000억원의 자금 중 5,000억원을 출자전환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이에 따라 채권은행 및 보험사, LG그룹을 통한 자본확충 규모는 당초 2조원에서 총 4조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LG그룹도 채권금융기관과 똑같이 손실을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LG측에 보다 강도높은 자구방안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 “감자 불가피”입장 선회=채권단은 24일 채권은행장 회의를 통해 우선 LG계열사를 포함한 기존 대주주와 템플턴자산운용 등 외국인주주, 소액주주 지분에 대해 2.5대 1로 감자하는 방안을 놓고 조율했다. 나머지 LG카드의 특수관계인(구본무 회장을 비롯한 개인대주주) 지분은 인수은행에 주당 1원에 양도되기 때문에 사실상의 완전감자(무상소각)가 이뤄진다. 채권단은 일단 1차로 채권은행의 출자전환을 통해 채권단 지분을 높인 뒤 감자를 실시할 방침이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8개 채권은행과 LG카드 인수은행이 출자전환을 모두 마치면 양측이 80~90%의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며 “주주들의 반발로 진통이 예상되지만 감자를 위한 주총에서의 특별결의 의결권(총주식수 3분의 1 이상 출석, 3분의2 이상 찬성)을 넘은 만큼 의사결정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채권금융기관 중 상당수가 감자비율 등에 이견을 제시해 최종방안은 확정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증권시장에서는 템플턴 등 외국계 대주주와 소액주주들의 강력한 반발로 감자안이 쉽게 처리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LG카드 매각판도 달라질까= 채권단이 이처럼 LG카드 처리방안을 수정함에 따라 난항을 겪어 온 LG카드 매각작업에 숨통이 트일 지도 관심사다. 그러나 LG카드의 유력한 인수자로 꼽혀 온 하나은행이나 우리금융 등이 새로운 매각조건에 대해서도 난색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져 상당한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일부 채권은행장이 “LG카드 매각이 무산될 경우 채권단 공동관리(사실상의 워크아웃)에 집어 넣은 뒤 재매각을 추진하자”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반면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채권단 공동관리 보다는 산업은행 인수가 차라리 현실적”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는 LG카드의 유동성 상황이 다른 매각방안을 찾을 수 있을 만큼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채권은행이나 보험사, LG그룹측이 인수자의 `입맛`에 맞는 수정방안에 합의할 지 여부도 여전히 미지수여서 매각작업이 순탄하게 진행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