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유니레버에 30만弗 벌금

11일 물가 발표 앞두고 다국적 기업에도 강경책 나서

중국 당국이 가격인상 계획을 밝혀 시장 질서를 어지럽혔다는 이유로 다국적기업인 유니레버에게 거액의 벌금을 부과했다. 가격인상을 예고한 것 만으로 기업에 벌금 조치가 내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인 데다, 중국 국영기업도 아닌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한 이례적인 강경조치를 내렸다는 점에서 오는 11일 소비자물가 발표를 앞두고 중국 당국이 물가 동향에 극도로 예민해진 것으로 보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7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CR)가 유니레버에 200만 위안(30만달러)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NDCR은 성명을 통해 유니레버가 지난 3월 중국의 현지 언론에 세제류의 가격인상 가능성을 언급함으로써 “인플레이션 기대를 가중시키고 시장 질서를 심각하게 왜곡했다”고 설명했다. NDCR은 유니레버의 가격 인상 계획이 공개되면서 소비자들이 세제와 비누 사재기에 나서기 시작해 유니레버의 일부 제품 판매가 평소의 100배나 급증했다고 덧붙였다. 지속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기업들의 원가부담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가격 인상 예고에 대해서조차 ‘시범 케이스’로 대규모 벌금을 부과하자, 중국기업들은 물론 중국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들도 앞으로 원자재값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시키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실제로 유니레버는 앞서 NDCR로부터 가격 인상 자제 요청을 받아 지난 4월1일로 예정됐던 제품가격 인상을 연기했으며, 지난 6일에는 중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식품업체‘팅이’도 과도한 가격 인상에 대한 경고를 받은 상태다. 팅이 역시 최근 제품가격 인상을 철회한 바 있다. 이처럼 중국 당국이 물가에 대해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지난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기대비 5.4%나 급등하며 중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11일 발표될 예정인 4월 CPI 역시 5%대의 상승률이 예상되는 등 물가 불안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