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장사 10개중 1곳, 외국인에 경영권 위협 노출

상장기업 10개중 1곳은 외국인의 지분율이 국내최대주주 지분율보다 많아 경영권 위협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결산 485개 상장사(신규 상장, 관리종목, 감자종목 등 제외) 가운데 이달 26일 현재 외국인의 전체 지분율이 국내 최대주주 지분율을 웃도는 기업은 48개로 9.9%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말 39개에 비해 23%가 늘어난 것이며 전체 상장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86%포인트가 상승했다. 이들 기업의 외국인 지분율은 평균 43.83%로 국내 최대주주 평균 지분율 26.87%보다 16.96%포인트가 많았다. 외국인 지분율이 50% 이상인 기업인 12개로 작년말의 2배로 늘어났고 30% 이상~50% 미만이 48개, 10% 이상~30% 미만이 84개, 10% 미만이 341개였다. 외국인과 국내 최대주주의 지분율 격차가 가장 큰 곳은 POSCO로, 외국인 지분율이 68.75%에 달했으나 최대주주인 포항공과대학의 지분율은 12.55%에 불과했다. 현대산업개발도 최대주주인 정몽규 회장의 지분율이 17.02%로 외국인 지분율 65.77%에 크게 못미쳤다. 또 소버린 자산운용에 의한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에 시달리고 있는 SK의외국인 지분율은 61.18%로 최대주주 SK씨앤씨의 지분율 17.53%보다 많은 상황이다. `제2의 SK' 우려를 낳기도 한 삼성물산의 외국인 지분율은 39.53%로 최대주주인삼성SDI의 지분율 16.04%를 크게 앞서고 있다. 연초에는 영국계 연기금펀드 운용사인 헤르메스 등 외국계 펀드가 삼성물산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들여 M&A 논란에 휩싸였으며 증권연구원은 삼성물산이 경영권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증권거래소 관계자는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경영권 위협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문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