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李당선자, 미·일·러·중 4强 외교 첫걸음 "순조"

당선 이틀만에 6자회담 주변 4강대사 모두 면담<br>北核문제·전작권·한일 무역 역조등 난제 수두룩<br>전문가 "외교역량 강화, 각종 이슈 유연 대처 필요"

이명박(왼쪽) 대통령 당선자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안국포럼에서 알렉산드로비치 이바셴초프 주한러시아 대사를 접견하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당선 축하 메시지를 전달받고 있다. /고영권기자

본격적인 정권 인수에 앞서 미국ㆍ일본ㆍ중국ㆍ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강 외교력을 강화하기 위한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이 당선자는 미ㆍ일ㆍ러ㆍ중 각국 정상들로부터 친서를 받거나 주한 외교 대사들을 만나 한반도 초미의 이슈인 북핵 문제는 물론 각종 현안을 논의하며 당선 직후부터 활발한 4강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출범을 앞둔 이명박호(號) 앞에는 북핵을 비롯, 전시작전통제권 재협상, 역사교과서 등 주변 강국들과 직접적으로 얽혀 있는 이슈들이 즐비해 이 당선자의 4강 외교 초기 발걸음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주변 강국들과의 외교 첫 단추를 어떻게 꿰느냐에 따라 앞으로 5년 간의 외교 여정의 향방이 결정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당선 직후부터 분주한 4강 외교 행보=이 당선자는 지난 20일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 시게이에 도시노리(重家俊範) 주한 일본대사를 만난 데 이어 21일에는 알렉산드로비치 이바센초프 주한 러시아대사와 닝푸쿠이(寧賦魁) 주한 중국대사를 각각 면담했다. 당선 이틀 만에 6자 회담 주변 4강 대사를 모두 만난 셈이다. 한반도 문제에서 최대 영향력을 지닌 미국과의 외교 첫 행보는 비교적 순조롭다. 앞으로 양국간 관계 진전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당선 직후 가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이 당선자가 “한미 동맹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히자 버시바우 미 대사는 “한국의 경제적 성장이 지속되려면 한미동맹의 힘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환영 의사를 재차 강조했다. 당선 축하 인사차 예방한 이바센초프 대사로부터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전달한 방러 초청장도 받았다. 이 당선자가 “러시아와 한국이 협력해 동부 시베리아 개발을 함께 해나가면 양국에 도움이 될 것 같다”며 한ㆍ러 경제협력을 제안하자 이바센초프 대사는 “대통령 당선자 임기 중 양국 관계가 훨씬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임기 중 러시아를 방문해줄 것을 요청한다”는 푸틴 대통령의 방러 초청 의사를 전했다. 중국의 러브콜도 이어졌다. 닝 대사는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의 친서를 전달하기 위해 이 당선자를 예방한 자리에서 새 정권 출범 전 특사 파견을 요청한다는 후 주석의 뜻을 전했다. 이 당선자는 “지난번 초청해주셨는데 경선ㆍ본선이 너무 치열해 방문을 못해 죄송하다”며 “이제는 시간에 쫓기지 않으니 방문할 수 있다”며 조속한 시일 내 중국을 방문할 의사를 밝혔다. 이에 앞서 20일에는 시게이에 대사와 만나 “양국의 우호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하고 싶다”는 후쿠다 야스오 총리의 메시지를 전달받고 한일 경제협력이 더욱 진전될 수 있도록 노력하자는 뜻을 전했다. ◇난제 수두룩…외교 역량 강화 시급=본격적인 시동을 건 이 당선자의 외교 행보에 안팎의 평가는 일단 긍정적이다. 하지만 내년 출범을 앞둔 이명박호 앞에는 북핵 문제, 전시작전통제권, 한일경제 역조,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비롯한 주변국들의 역사왜곡 문제 등 난제가 수두룩해 외교 역량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연말까지 해결하기로 한 북핵 불능화ㆍ신고 문제는 참여정부의 바통을 이어받아 풀어나갈 시급한 숙제다. 북핵 문제의 당사국인 만큼 미국ㆍ중국ㆍ러시아ㆍ일본 등 관련국들과의 관계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주도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미국 부시 행정부와는 각종 정책에서 참여정부에 비해 비교적 궁합이 잘 맞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하지만 다시 불거지고 있는 전시작전통제권 재협상, 대사관 이전 예정 부지 변경 등 한미간 신경전을 벌일 문제가 남아 있는 만큼 유연한 외교 행보도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10년간 유지해온 대북 정책이나 외교정책을 단순히 부정하기 위한 부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측면은 계승하고 그 동안 부족했던 외교 역량을 강화하는 창조적 재건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있다. 미국의 부시 정부가 전임 클린턴 정부가 추진했던 외교정책을 갑자기 반대방향으로 급선회하면서 이른바 ‘클린턴과는 반대(ABCㆍAnything but Clinton)’를 고집했다가 낭패를 본 경험을 잘 새겨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